|
|
||
|
천조【薦俎】신(神)에게 제수(祭羞)를 바치는 일. 천조【天造】하늘의 만물(萬物) 창조(創造)를 이름. 유신(庾信)의 소원부(小園賦)에, “諒天造兮昧昧 嗟生民兮渾渾”이라고 보임. 천조자조【天助自助】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즉 하늘은 스스로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복을 내린다 천종【千鍾】종(鍾)은 옛날 양기(量器)의 이름인데, 곡(斛) 4두(斗)에 해당한다. 천종(千鍾)의 녹(祿)은 가장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이 받는 녹을 말한다. 천종백고【千鍾百觚】요(堯)는 술 천종(千鍾)을 마셨고, 공자는 백고(百觚)를 마셨다 한다. 천주【天廚】별 이름임. 진서(晉書) 천문지(天文志)에 “紫宮東北維外六星曰天廚 主盛饌" 이라 하였음. 천주【天柱】하늘을 괴는 기둥. 전(轉)하여 세상을 지보(支保)한다는 뜻으로, 곧 임금. 천주백립【천柱白立】사람들이 먹을 게 없어 소나무 껍질을 마구 벗겨 먹음으로써 소나무들이 하얗게 된 것을 비유한 말이다. 천주사【天柱寺】경주(慶州) 월성(月城) 서북쪽에 있던 절 이름이다. 천주액부자【穿珠厄夫子】공자(孔子)가 진채(陳蔡)에서 재액(災厄)을 당할 적에 구곡주(九曲珠)에다 실을 꿰게 되었는데, 꿰는 방법을 몰라 어찌할 줄 모르던 차에 어떤 여자가 꿸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자 공자가 그제야 깨닫고, 곧 개미허리에 실을 묶은 다음 실에다 꿀밀[蜜]을 발라서 꿰었다 한다. 《祖庭事苑》 천주용의【穿珠用蟻】전설(傳說)에 의하면, 공자(孔子)가 일찍이 진(陳)에서 재액을 당했을 때 구곡주(九曲珠)에 실을 꿰게 되었는데, 방법을 몰라서 망설이던 차에 어떤 여인이 비결을 가르쳐 주므로 공자가 곧 깨닫고는 개미 허리에다 실을 묶은 다음 그 구멍에 꿀을 묻혀서 개미를 통과하게 하여 실을 꿰었다고 한다. 천주축융【天柱祝融】모두 중국 남방에 있는 형산(衡山)의 높은 봉우리[峰]의 명칭이다. 천중【天中】천중가절(天中佳節) 즉 단오절을 가리킨다. 천중가절【天中佳節】오월 단오. 천중일【天中日】음력 5월 5일로, 단오(端午)를 말한다. 천중절【天中節】단오(端午)절를 말한다. 5월 5일이 천수(天數)에 부합되기 때문에 그런 별칭이 있게 되었다고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