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청산유수【靑山流水】푸른 산에 흐르는 물. 청산에 흐르는 물처럼 거침없이 말을 잘함. 막힘 없이 말을 썩 잘함

청산일발【靑山一髮】주권(周權)의 시에 “靑山一髮認邳州蕭條暮上魚豚市" 가 있음

청살【靑殺】청살은 사책(史冊)을 뜻하는 것이다.

청삼【靑衫】당(唐) 나라 때 품계(品階)가 낮은 하급 문관이 입던 관복으로, 강주사마(江州司馬)로 좌천된 백거이(白居易)의 고사에 연유하여, 실의에 빠진 관리를 표현할 때 보통 ‘청삼사마(靑衫司馬)’라고 한다. 백거이(白居易)의 ‘비파인(琵琶引)’에 나오는 “座中泣下誰最多 江州司馬靑衫濕”이라는 시구는 특히 유명하다.

청삼【靑衫】청삼은 보통 서생(書生)을 뜻하는데, 청색 옷을 입었던 문관 8품과 9품의 관직을 가리키기도 한다.

청상【淸賞】경치 좋은 산수(山水)를 유람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청상【靑裳】망우초(忘憂草) 즉 원추리의 별칭이다.

청상【靑箱】집안에 대대로 전해지는 학문을 이름. 유송(劉宋) 때 왕준지(王准之)의 집은 대대로 강좌(江左)의 옛 일을 잘 알아서 이를 기록하여 푸른 상자[靑箱]에 넣어 두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이를 일러 ‘왕씨(王氏)의 청상학(靑葙學)’이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宋書 卷六十》

청상【淸商】청상곡. 

청상곡【淸商曲】가을에 속하는 상성(商聲)의 맑고도 슬픈 노래를 말한다.

청상악【淸商樂】고대 한족(漢族)의 민간 음악이다. 참고로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畫角三聲刁斗曉 淸商一部管絃秋 他時麟閣圖勳業 更合何人居上頭”라는 구절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17, 河陽石尙書 破迴鶻 迎貴主 過上黨 射鷺▣ 繪畫爲圖 猥蒙見示 稱歎不足 以詩美之》

청상전가【靑箱傳家】송서(宋書) 왕준지전(王准之傳)에, 증조 표지(彪之) 때부터 박학한 지식과 사실(史實) 등을 푸른 궤[靑箱]에 넣어 대대로 전수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왕씨 청상학(王氏靑箱學)’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청상조【淸商調】청상은 청량(淸涼)한 가을 바람을 뜻함.

청색심전구【淸塞心傳句】정곡(鄭谷)의 시에 “靈一心傳淸塞心 可公吟後楚公吟" 이라 하였음.

청서【靑鼠】간지(干支)를 오색(五色)과 물상(物像)에 맞춘 것으로, 갑자(甲子)를 말함.

청석【靑石】충렬(忠烈)을 격려해 지은 시의 제목. 백장경집 풍유(諷諭)에 보임.

청석령【靑石嶺】요동의 봉황성(鳳凰城)에서 서북쪽으로 195리 되는 곳에 있는 고개로, 푸른 돌이 많아 청석령이라 칭한다고 한다.

청성【淸聖】순결한 성인으로, 백이 숙제를 가리킨다. 맹자(孟子) 만장 하(萬章下)에, “백이는 성인 가운데 순결한 자이다.” 하였다.

청성노【靑城老】권호문(權好文)을 가리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