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추호【秋毫】가을철의 가늘어진 짐승의 털. 썩 적음.

추호부【秋胡婦】추호는 춘추시대 노(魯) 나라 사람인데, 그의 아내가 시집온 지 5일 만에 그는 진(陳)에 부임하였다. 그로부터 5년 뒤에야 돌아오다가 길가에서 뽕 따는 부인을 보고 좋아하여 금(金)을 주자, 그 부인은 돌아보지도 않고 가버렸는데, 추호가 자기 집에 와서 보니 아까 그 부인이 바로 자기 아내였었다. 그러자 그 부인은 남편의 불효(不孝)와 불의(不義)를 꾸짖고 강물에 투신 자살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추화【推火】밀양(密陽)의 고호임.

추환【芻豢】풀을 먹는 우양(牛羊)과 곡식을 먹는 견시(犬豕)를 가리키는 말로, 감미로운 음식을 뜻한다.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上)에, “의리(義理)가 나의 마음에 좋기가 추환(芻豢)이 나의 입에 좋은 것과 같다.” 하였다.

추획사【錐劃沙】붓을 들어 글씨를 쓸 때 송곳으로 모래를 긋는 것과 같이 한다는 것으로 필법의 정묘함을 뜻함.

축【祝】남자무당을 가리킨다.

축【筑】축은 거문고 비슷한 현악기의 이름이다.

축가탄【祝家彈】이는 축씨(祝氏)가 만든 거문고의 곡조를 연주하는 법인데, 그의 이름과 시대는 자세하지 않다. 《樂府詩集 琴曲歌辭 胡笳十八拍》

축객령【逐客令】진 시황 때에 내린 명으로, 다른 나라에서 진나라로 들어와서 관직에 있거나 유세(遊說)하는 자들을 나라 밖으로 내쫓게 한 명령인데, 이사(李斯)가 상소를 올려서 반대하자 명령을 철폐하였다. 《史記 卷六 秦始皇本紀》

축객혼【逐客魂】초(楚) 나라 때 비방을 당해 유배되어 떠돌다가 상수(湘水) 가에서 죽은 굴원(屈原)을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고향을 떠난 나그네를 가리킨다.

축건【竺乾】천축(天竺)으로 곧 석가를 말함.

축건경【竺乾經】불경. 석가(釋迦)가 축건국(竺乾國)의 태자였으므로 붙여진 것이다.

축건선생【竺乾先生】축건 선생은 석가모니(釋迦牟尼)를 말한다.

축건책【竺乾策】불서(佛書)임. 

축계옹【祝鷄翁】진(晉) 나라 때의 선인(仙人). 축계옹이 세상을 피해 홀로 자득하며 시향(尸鄕) 북쪽 산 아래 토굴에 살면서 백여 년 동안 1천 마리의 닭을 길렀는데, 닭마다 모두 이름을 붙여 준 뒤 그 닭 이름을 부르면 알아듣고 앞으로 나왔다 한다. 《列仙傳 祝雞翁》

축공무【祝公舞】간신들이 날뛰는 바람에 올바른 도리가 없어졌다는 말. 자치통감(資治通鑑) 당기(唐紀)에 “축흠명(祝欽明)이 팔풍무(八風舞)를 추었는데, 온갖 추태가 고루 갖추어져 있었으므로 이를 본 사람이 ‘축공의 춤에 오경(五經)이 모두 없어졌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축과【軸薖】시경(詩經) 고반(考槃) 편의, “은거하는 집이 언덕에 있으니 대인의 마음 넉넉하다. …… 은거하는 집이 육지에 있으니 대인이 유유자적 노닌다.[考槃宰阿 碩人之薖 …… 考槃在陸 碩人之軸]”를 인용한 것으로 은사의 여유로운 생활을 뜻한다.

축국백리【蹙國百里】국방이 튼튼하지 못하여 나라가 줄어들고 있다는 말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소민(召旻)에, “지금은 나라가 백 리씩 쭈그러들도다.[今也日蹙國百里]”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