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허약허【許若虛】약허(若虛)는 허실(許實)의 자(字)이다. 허옥여【許沃余】옥여는 허계(許啓)의 자(字)이다. 허위류전【許魏留鐫】중국의 사신인 허국(許國)과 위시량(魏時亮)을 가리킨다. 이들은 명종(明宗) 22년에 사신으로 나왔다. 허유【許由】중국 상고(上古) 시대의 고사(高士)로서 요(堯)가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 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요 임금이 허유에게 천하를 물려주려고 하니, 허유는 ‘당신이 천하를 다스려 천하는 이미 잘 다스려졌습니다. 그런데 내가 당신을 계승한다면 나는 장차 명예를 위하라는 말입니까? 뱁새가 깊은 숲에 서식(棲息)하여도 한 개의 나뭇가지에 의지할 뿐인 것입니다. ……그러니 당신은 돌아가십시오.’ 하고 사양했다.” 하였다. 허유기표【許由棄瓢】당요(唐堯) 시절의 고상한 은사였던 허유(許由)가 기산(箕山)에 숨어살며 물을 떠 마실 그릇이 없기 때문에 손으로 늘 움켜 마셨는데 그것을 본 어떤 사람이 바가지 한 짝을 그에게 주었다. 허유는 그 바가지로 물을 퍼 마시고는 나뭇가지에다 걸어 두었더니 바람이 불면 딸그락 딸그락 소리가 나는 것이었다. 그러자 허유는 그것이 번거롭다 하여 바가지를 버리고 다시 손으로 움켜 마셨다고 함. 《琴操》 허자【許子】초당(草堂) 허엽(許曄) 허장성세【虛張聲勢】명성과 위세를 헛되이 펼쳐 놓음. 거짓으로 위세를 꾸미고 헛된 소리로 사람을 위협함. 실력은 없으면서 허세만 부림. 허정【虛靜】텅 빈 마음으로 만물을 모두 받아들이고, 스스로 고요히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만물의 실상을 가감없이 그대로 비쳐 주는 것을 말한다. 허정【許靖】후한(後漢) 말엽에 동탁(董卓)을 죽이려다 실패한 뒤 촉한(蜀漢)에 들어가서 태부(太傅)가 되었는데, 인재를 아끼고 후진을 이끌어 주며 청담(淸談)을 즐겼다. 일찍이 “영재(英才) 위사(偉士)로서 대사를 도모할 만한 지략(智略)을 지녔으며, 항상 남을 먼저 위하고 자신을 뒤로 돌렸다.[先人後己]”는 평판을 얻었는데, 승상 제갈량(諸葛亮) 역시 그의 인품을 흠모하여 절을 하곤 하였다 한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葛洪尸定解 許靖力難任”이라는 구절이 있다. 허정라면【虛庭羅麪】속석(束晳)의 면부(麪賦)에 “가는 밀가루가 눈[雪]처럼 날린다.” 한 말을 인용하였다. 문견후록(聞見後錄)에는 “그의 집에서 밀가루를 가공하여 생계를 이어갔다.” 하였다. 허제【虛祭】허위(虛位)를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 허주【虛舟】사공 없이 떠도는 배처럼 의탁할 곳이 없는 처지를 말한다. 허주【虛舟】세상일에 대해 담박한 마음으로 대하여서 마음에 두지 않는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외편(外篇) 산목(山木)에, “배를 나란히 하고 황하를 건널 적에 만약 빈 배[虛舟]가 와서 자기 배에 부딪쳤을 경우에는 아무리 속이 좁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성을 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한 사람이라도 그 배 위에 있다면 곧 소리쳐서 저리 가라고 할 것이다.” 하였다. 허주【許州】함양(咸陽)의 고호임. 허중위이【虛中爲离】이괘(离卦)는 “☲이므로 가운데의 획이 비었다[離虛中].”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