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형악【衡岳】중국대륙의 남쪽에 위치한 큰 산 이름.

형애제공【兄愛弟恭】형은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을 공경해야한다는 뜻.

형액월제감구내【衡扼月題堪區耐】장자(莊子)에, “말이 굴레도 고삐도 없이 마음대로 풀을 먹고 물을 마시는 것이 본성인데 백락이 나와서 굴레를 씌우고 고삐를 매니 말은 본성을 잃고 말았다.” 하였다.

형양【桁楊】형양은 죄인의 수족에 채우는 형구(刑具)를 말한다.

형양【滎陽】정홍명을 가리킨다. 형양이 중국 하남성(河南省) 정현(鄭縣)인 까닭에 정씨(鄭氏)를 보통 형양으로 일컫고 있다.

형양【衡陽】중국 형산(衡山) 남쪽 즉 형양(衡陽)에 회안봉(回雁峯)이 있는데, 이곳을 기점으로 해서 기러기들이 남북으로 왕래하며 이동한다고 한다. 참고로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기러기의 군진이 추위에 놀라, 형양 물굽이에 소리가 끊어졌네.[雁陣驚寒 聲斷衡陽之浦]”라는 표현이 있다.

형양금【荊楊金】형주(荊州)와 양주(楊州)에서 나는 금으로, 품질이 좋은 금을 말한다.

형양묵흔【滎陽墨痕】형양(滎陽)은 시(詩), 서(書), 화(畫)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던 당(唐) 나라 정건(鄭虔)을 가리킨다. 집이 가난해 종이를 구할 수 없자 감나무 잎에 붓글씨 연습을 하였다고 한다. 《新唐書 卷202》

형양안【衡陽雁】무슨 일을 아주 단절하지 못하고 늘 도로 되풀이하는 데에 비유한 말이다. 형양(衡陽)에 회안봉(回鴈峯)이 있는데, 기러기가 언제나 이 산봉우리에 이르러서는 봉우리가 너무 높아 더 이상 넘어가지 못하고 봄이 되면 다시 돌아온다고 한다.

형여【荊廬】형산(荊山)과 여산(廬山). 형산은 호북성(湖北省)에 있는 산으로 옥(玉)이 나는 명산이고, 여산은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명산이다.

형역【形役】마음이 육체적 생활의 노예가 되어 사역(使役) 당하는 것을 말한다. 즉 외물(外物)로 인해 자유의지(自由意志)가 구속됨을 말한다.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이미 스스로 마음을 가지고 형체의 역사 삼았으니 어찌 실의에 빠져 슬퍼만 하리오.[旣自以心爲形役 奚惆悵而獨悲]" 하였음.

형옥【荊玉】형옥은 형산(荊山)에서 나오는 옥으로 초(楚) 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형산의 박옥(璞玉)을 얻어서 세 차례에 걸쳐 초 문왕(楚文王)에게 올린 일이 있었음. 바로 화씨벽(和氏璧)을 말한다.

형원【荊猿】몹시 슬프게 우는 원숭이를 뜻한다.

형이상하【形而上下】형이상은 형기(形氣)가 나타나기 전으로 바로 이치를 말하고 형이하는 형기가 나타난 후로 바로 기운을 뜻함.

형인【衡人】형인은 주례(周禮)의 관명으로 특히 산림을 관장하는 사람을 말한다.

형인양월【荊人兩刖】유명한 변화읍벽(卞和泣璧)의 고사임. 초 나라 사람 변화가 옥돌을 얻어서 초 여왕(楚厲王)에게 바쳤으나 속임수를 쓴다고 여겨져 왼쪽 발이 잘렸는데, 무왕(武王) 때 또 바쳤다가 같은 이유로 오른쪽 발마저 잘리자 원통한 심정으로 옥돌을 안고 울었다고 함. 《韓非子 和氏》

형제이난【兄弟二難】형제가 서로 우열이 없이 덕행이 똑같이 뛰어남을 이름. 후한(後漢) 때 진식(陳寔)의 여섯 아들 가운데 기(紀)와 심(諶) 두 아들이 가장 덕행이 뛰어났는데, 진식이 그들을 평하기를 “원방(元方)은 형 되기가 어렵고, 계방(季方)은 아우 되기가 어렵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六十二》

형제혁장【兄弟鬩墻】형제가 담장 안에서 싸운다. 동족상쟁(同族相爭)을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