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황벽【黃蘗】황벽은 산 이름인데 당 나라 단제선사(斷際禪師) 희운(希運)의 별칭임. 황벽종(黃蘗宗)ㆍ조계종이 있음. 황벽인배휴【黃蘗引裴休】황벽은 당(唐) 나라 단제선사(斷際禪師) 희운(希運)의 별칭임. 고승전(高僧傳)에 “희운이 배 상국(裵相國)의 청으로 완릉(宛陵)의 개원사(開元寺)에 있으면서 사방에서 모여드는 제자를 가르쳤는데, 배 상국도 이곳에서 희운에게 득법(得法)했다.” 하였다. 황변녹【隍邊鹿】꿈속에서 있었던 허무한 일을 말한다. 열자(列子) 주목왕(周穆王)에, “들판에서 나무를 하고 있던 정(鄭) 땅 사람이 사슴을 만나서 잡은 다음 이를 죽였는데, 다른 사람들이 보고 가져갈까 염려되었다. 이에 사슴을 끌어다가 해자 속에다 감추고는 풀로 덮은 다음 몹시 기뻐하였다. 그런데 얼마 뒤에 감추어 둔 장소를 잊어버리고는 마침내 꿈속에서 있었던 일로 여겼다. 그 사람이 길을 내려오면서 그 일을 떠들어대자, 곁에 있던 사람이 듣고는 그 말에 따라 찾아가서 사슴을 얻었다.” 하였다. 황복【荒服】오복(五服)의 하나로, 중국 경사(京師)에서 2천 5백 리 떨어진 변원(邊遠)을 가리킨다. 사기(史記) 주 본기(周本紀)에 “이만(夷蠻)은 요복(要服)이요, 융적(戎翟)은 황복(荒服)이다.”라는 말이 있다. 전(轉)하여 교화 밖의 만이(蠻夷)를 가리킨다. 황봉【黃封】임금이 하사한 술을 이름. 궁중에서 빚은 술은 누른비단으로 봉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궁중의 맛좋은 술을 가리킨다. 황봉주【黃封酒】임금이 하사한 술. 황분【皇墳】삼황(三皇)의 분서(墳書)라는 뜻으로, 즉 복희(伏羲)ㆍ신농(神農)ㆍ황제(黃帝)의 글을 말한다. 《孔安國 尙書序》 황비【黃扉】승상, 삼공(三公), 급사중(給事中) 등 최고위 관원을 가리키는 말로, 그들의 문에 황색 칠을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황비자달【黃扉紫闥】주황색 문은 재상의 집을, 보라색 문은 대궐을 가리킨다. 황비주획【黃扉籌畫】정승의 위치에서 수립한 정책을 말한다. 옛날 승상이나 삼공(三公) 등의 집무실에는 황색으로 문을 칠했는데, 이를 황비(黃扉)라 하였다. 황비피현【黃扉避賢】재상의 지위를 후배에게 물려주려고 했다는 말이다. 옛날에 재상 등 고관의 관청 문을 황색으로 칠했던 고사가 있다. 피현(避賢)은 현재(賢才)에게 길을 비켜 준다는 말이다. 황사【黃沙】황사는 사막(沙漠)이란 뜻이다. 왕창령(王昌齡)의 종군행(從軍行)에 “사막의 백번 싸움에 쇠 갑옷 뚫리었네[黃沙百載穿金甲]" 하였다. 황사【黃沙】황사옥(黃沙獄)의 준말로, 진(晉) 나라의 조옥(詔獄)의 이름으로, 감옥 속의 고통을 말한다. 황사랑【黃四娘】두보의 강반독보심화(江畔獨步尋花)라는 시에, “황사랑의 집에 꽃이 길에 가득하다[黃四娘家花滿蹊].”란 귀절이 있는데, 황사랑은 어떤 여자인 듯하며 두자미의 시에 실렸기 때문에 전하여졌다는 것이다. 황산【黃山】황산은 김유근(金逌根)의 호. 황산곡【黃山谷】황산곡의 성명은 황정견(黃庭堅)이요, 산곡은 그의 호이다. 그는 송(宋)나라 신종(神宗) 원풍(元豐) 시대 사람이다.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이성계(李成桂)ㆍ이두란(李豆蘭) 장군이 고려 우왕 6년(1380)에 지리산 근방 황산에서 왜적 아기발도(阿只拔都)군을 물리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선조 10년(1577)에 세운 승전비(勝戰碑)로,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雲峯面) 화수리(花水里)에 있었는데 왜정 때 파괴되고 지금은 파편만 남아 있다 한다. 김귀영(金貴榮)이 비문을 짓고 송인(宋寅)이 글씨를 쓰고 남응운(南應雲)이 각자(刻字)하였다. 황삼【黃衫】수(隋), 당(唐) 시대에 소년들이 입었던 화려한 황색 복장이다. 두보(杜甫)의 시에 “황삼 입은 소년이여 자주 와서 즐기시오, 동으로 흐르는 물처럼 청춘도 그렇게 지난다오.[黃衫年少來宜數 不見堂前東逝波]”라는 표현이 있다.《杜少陵詩集 卷10 少年行 2》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