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마두【馬竇】한(漢) 나라의 마 황후(馬皇后)와 두 황후(竇皇后)를 가리킨다. 마 황후는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의 딸로, 명제(明帝)의 황후가 되어 모든 후궁들의 귀감이 되었으며, 장제(章帝) 즉위 후에 황태후로 받들어졌다. 두 황후는 문제(文帝)의 황후로서, 아들인 경제(景帝)가 즉위하자 황태후가 되었다가, 다시 무제(武帝)가 즉위한 뒤에 태황태후(太皇太后)가 되었다.

마등【摩登】마등(摩登)은 종족(種族)의 이름으로 음탕한 여자 발길제(鉢吉帝)를 가리킨다. 그는 주술을 가지고 석가의 종제(從弟)이며 10대 제자의 하나인 아난을 유혹하려 했으나 아난은 석가의 힘으로 그를 물리쳤다 한다.

마등가【摩登伽】능엄경(楞嚴經)에 “아난(阿難)이 밥을 빌러 나갔다가 음녀(淫女)인 마등가(摩登伽)의 유혹에 빠졌을 때, 부처가 문수보살(文殊菩薩)을 보내어 음녀의 마술을 깨뜨리고 구출했다.”고 하였다.

마등가녀【摩登伽女】불교에서 말하는 음녀(淫女)의 이름인데, 그의 딸 발길제(鉢吉帝)를 시켜 환술(幻術)로 석가모니의 수제자인 아난(阿難)을 유혹하여 파계하게 하자, 석가모니는 이를 알고 신주(神呪)를 외어 아난을 구제하였다 한다.

마란【馬卵】마란은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탄생 설화로, 진부(辰部) 고허촌장(高墟村長) 소벌공(蘇伐公)이 양산(楊山) 기슭의 나정(蘿井) 옆 숲속에서 말이 울고 있기에 가서 보니 커다란 알이 있었고 그 속에서 어린아이가 나왔다 한다.

마려【磨驢】마려는 연자방아를 돌리는 나귀를 가리키는데, 조금도 다른 데로 나가지 못하고 한 곳에서 계속 방아만 돌리는 나귀란 뜻으로, 무능함을 비유한 말이다.

마려답적【磨驢踏跡】전혀 진취됨이 없이 항상 제자리에 있음을 비유한 말. 마려는 곧 연자방아를 끌어서 돌리는 나귀를 가리킨다.

마렵【馬鬣】말갈기처럼 된 분묘(墳墓) 형태의 하나.

마렵인산【馬鬣因山】분묘(墳墓)의 모양을 마엽(馬鬣)처럼 하고, 혹은 도끼[斧]처럼 혹은 당(堂)처럼 한다는 것이다.

마령진【磨嶺鎭】마천령(摩天嶺)과 마운령(摩雲嶺)에 있는 북방 변경의 군영(軍營)을 말한다.

마룡방【馬龍榜】훌륭한 인재가 뽑힌 과거 방목(榜目)을 뜻하는 듯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마루【麻壘】임진왜란 때 중국에서 온 마귀(麻貴)가 쌓은 성루(城壘)이다.

마루【劘壘】적(敵)의 성루(城壘)에 접근하는 것. 전하여 시문(詩文) 등이 옛 대가(大家)에 필적(匹敵)할 만함을 칭찬하여 일컫는 말이다.

마릉서【馬陵書】전국 시대 제(齊) 나라 손빈(孫臏)이 위(魏) 나라 방연(龐涓)과 싸울 적에 손빈이 방연을 마릉(馬陵)의 좁은 길로 유도한 다음 그곳에 복병(伏兵)을 설치하고서 큰 나무의 껍질을 하얗게 깎아 내고 거기에 쓰기를, “방연이 이 나무 밑에서 죽을 것이다.[龐涓死于此樹之下]" 하였는데, 과연 그렇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卷六十五》

마마【媽媽】어머니를 부르는 말, 늙은 여자, 노부

마마【馬磨】연자방아.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