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산화녀【散花女】법회중(法會中)에 한 천녀(天女)가 하늘꽃[天花]을 뿌렸는데, 여러 보살(菩薩)에 닿은 꽃은 다 땅바닥으로 떨어지고, 사리불(舍利弗)ㆍ목건련(目犍連) 등 10대 제자에게 닿은 꽃은 떨어지지 않자 천녀가 “이는 습기(習氣)가 다하지 못한 때문에 꽃이 몸에 붙어 있다.” 한 데서 인용된 말이다. 《維摩經》 산화루【散花樓】산화루는 서촉에 있는 누각이다. 이백(李白)의 상황서순남경가(上皇西巡南京歌)에 “비단 빨던 맑은 강이 만리를 흐르는데 구름 돛단 큰 배가 양주로 내려가네 북쪽 서울엔 비록 상림원을 자랑하지만 남경에는 도리어 산화루가 있다오[濯錦淸江萬里流 雲帆龍舸下揚州 北地雖誇上林苑 南京還有散花樓]”하였다. 《李太白集 卷七》 산화어이【散花於爾】유마힐(維摩經) 관중생품(觀衆生品)에 “유마힐(維摩詰)이 설법하고 있을 때 한 천녀(天女)가 현신(現身)하여 그 방에서 설법을 듣는 여러 보살 제자의 머리 위에 천화(天花)를 뿌려 주었다.” 하였음. 산화천【散花天】산화천녀(散花天女)의 준말로, 유마경(維摩經)에 의하면, 한 천녀(天女)가 천화(天花)를 여러 보살(菩薩)에게 뿌리자, 꽃이 몸에서 모두 떨어졌는데, 대제자(大弟子)에 이르러서는 꽃이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천녀가 말하기를 “결습(結習)이 미진한 때문에 꽃이 몸에 붙는 것이다.”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인데, 전하여 승려를 의미한다. 산화천상녀【散花天上女】유마경(維摩經)에 의하면, 회중(會中)에 한 천녀(天女)가 있어 천화(天花)를 여러 보살들에게 흩뿌리매 꽃이 다 바닥으로 떨어져 내렸는데, 대제자(大弟子)에 이르러서는 꽃이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자, 천녀가 말하기를 “번뇌의 해탈이 미진하기 때문에 꽃이 몸에 달라붙는 것이다.”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산회검극【山回劒戟】유자후가 귀양가 있으면서 지은 시에, “바닷가 뾰족한 산이 칼날 같아 가을이 오면 곳곳에 시름하는 창자를 베누나.” 한 글귀가 있다. 산회용호【山回龍虎】풍수설(風水說)에, 왼쪽은 청룡(靑龍)이요, 오른쪽은 백호(白虎)라는 말이 있다. 예를 들면 경복궁(景福宮)의 동편 언덕은 청룡이요, 인왕산(仁王山)은 백호가 된다. 살【樧】살(樧)은 수유(茱萸)라는 나무로서 산초나무[椒] 같으면서도 아니므로, 이는 곧 사이비 군자에 비유한 말이다. 살마【薩摩】살마는 일본 구주(九州)의 국명으로, 곧 일본을 가리킨다. 살생유택【殺生有擇】살생(산목숨을 죽임)할 때에는 가림이 있어야 한다. 살생을 할 때에는 가려서해야 한다는 말로, 곧 함부로 생명체를 죽이지 말라는 말 살수【薩水】즉 청천강. 고구려의 을지문덕이 수(隋)나라의 백만 군사를 청천강에서 대파하였다. 살신성인【殺身成仁】몸을 죽여 인을 이룬다는 뜻으로, 자기 몸을 희생해서 세상의 대의(大義)를 지킨다는 의미. 살축【薩筑】일본(日本) 구주(九州)에 있는 살마주(薩摩州)와 축주(筑州)를 가리킨다. 살풍경【殺風景】의산잡찬(義山雜簒)에 살풍경(殺風景)을 열거(列擧)했는데, “꽃 위에 잠방이 말리는 것[花上曬禈].” “꽃을 대해 차 마시는 것[對花噶茶]” 등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