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구【三九】부추로만 만든 세 가지 반찬. 남제(南齊)의 유고지(庾杲之)가 자기 먹을 것을 자기가 가꾸면서 청빈하게 지냈는데 그의 식탁에는 언제나 부추로 만든 세 종류의 반찬만이 있었기 때문에 그를 일러 삼구(三九)라고 하였고, 구(九)는 구(韮)와 음이 같기 때문에 한 말임. 《南齊書 庾杲之傳》 삼구【三韭】삼구는 세 가지의 부추나물[韭葉]로서, 남제(南齊) 때에 유고지(庾杲之)가 매우 청빈(淸貧)하여 부추 김치, 삶은 부추, 생 부추 세 가지 만을 먹었던 데서 온 말이다. 삼구【三驅】주역(周易)에, “삼구(三驅)를 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것은 사냥할 때에 뒤쪽 왼쪽 오른쪽 삼면만으로 짐승을 몰이한다는 것이다. 삼구유랑【三九庾郞】유랑은 남제(南齊) 때의 유고지(庾杲之)를 말하고, 삼구는 유고지가 매우 청빈(淸貧)하여 부추나물 세 가지[부추김치ㆍ삶은 부추ㆍ생부추]만 먹고 살았던 것을 이루는데, 부추 구[韮]자의 음이 구(九) 자와 같으므로 어떤 이가 이를 전용하여 장난삼아 말하기를, “누가 유랑더러 가난하다고 하는가. 어채(魚菜)를 항상 27종(種)씩이나 먹는다오.” 한 데서 온 말이다. 27은 곧 3× 9=27을 의미한 것이다. 《南齊書 卷三十四》 삼구채【三九菜】부추로만 만든 세 가지 나물을 말한 것으로, 자세한 것은 앞의 주 417)에 나타나 있다. 삼국정립【三國鼎立】삼국에 세 발 솥처럼 나누고 있음. 삼군【三軍】여말 선초(麗末鮮初)의 중(中)ㆍ좌(左)ㆍ우(右)의 세 군영. 이를 통제하는 기관은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였다. 삼군【三軍】천자의 군대는 육군(六軍), 제후의 군대는 삼군(三軍)이다. 《左傳 襄公 14年》 삼군가탈수【三軍可奪帥】아무리 많은 군졸의 호위도 화합하지 못한 부하들이라면 그 대장도 탈취할 수 있다는 뜻으로, 반대로 필부의 의지는 절대로 빼앗을 수 없다는 의미. 삼군공취투하음【三軍共醉投河飮】장수가 사졸(士卒)들과 고락을 같이함을 이른 말로, 옛날에 훌륭한 장수가 용병(用兵)할 적에, 어떤 이가 호리병 막걸리를 선사하자 이를 혼자 먹을 수 없다 하여 이것을 강물에 쏟게 한 다음, 수많은 사졸들과 함께 강물로 들어가 마셨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三略 上略》 삼군자【三君子】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ㆍ유자휘(劉子翬)를 이름. 주자연보(朱子年譜)에, “當韋齋疾革時 手自爲書 以家事屬少傅劉公子羽 而訣於籍溪胡憲原仲 白水劉勉之致中 少傅之弟屛山劉子翬彦冲 且顧謂先生曰 此三人者 吾友也 學有淵源 吾所敬畏 吾卽死 汝▣父事之”라고 보임. 삼굴【三窟】토끼가 위험한 상황을 감안하여 미리 세 개의 굴을 뚫어 놓는다는 교토삼굴(狡兎三窟)의 준말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퇴로(退路)를 미리 확보해 놓는 것을 말한다.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4에 “영리한 토끼는 세 개의 굴을 파놓고서 죽음을 면할 방도를 강구한다.[狡兎有三窟 僅得免其死耳]”라고 하였다. 삼권【三權】귀(貴)ㆍ부(富)ㆍ친(親). 삼귀【三歸】대(臺) 이름. 삼귀【三歸】불(佛)ㆍ법(法)ㆍ승(僧)ㆍ삼보(三寶)에 귀의함을 말한다. 삼귀의【三歸依】불법에 삼귀의는 불(佛)에 귀의(歸依)하고 법(法)에 귀의하고 승(僧)에 귀의한다는 것이다. 삼귀정【三龜亭】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 풍산현(豐山縣) 서쪽 6리 지점에 있는 정자로, 거북이 엎드린 모양의 암석 세 개가 있었으므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