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극【三極】동극ㆍ남극ㆍ서극을 말함. 삼극【三極】삼재(三才). 즉, 천(天)ㆍ지(地)ㆍ인(人)을 말한다. 삼극최가【三戟崔家】창[戟]은 고관들의 집 정문 앞에 배치된 위장(衛仗)을 말한다. 당(唐) 나라 최림(崔琳)은 최신경(崔神慶)의 아들로 정치에 밝았다. 개원(開元) 중에 태자소부(太子少傅)가 되었는데, 그와 그의 아우 태자첨사 규(珪)와 광록경(光祿卿) 요(瑤) 삼형제가 모두 고관이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삼극최가(三戟崔家)라고 했다 한다. 《唐書 崔神慶傳》 삼급【三級】용문삼급(龍門三級)의 준말로, 황하(黃河)의 상류에 있는 세 단계로 된 용문 폭포를 이르는데, 강해(江海)에서 모여든 수천 마리의 대어(大魚)들 중에 이곳을 통과하여 올라간 고기는 용(龍)이 된다고 하므로, 전하여 과거(科擧)에 급제한 것을 여기에 비유한다. 삼급비등【三級飛騰】황하(黃河)의 상류에 있는 용문(龍門)의 여울에는 폭포가 3단계로 나누어졌는데, 대어(大魚)가 그곳을 뛰어오르면 용(龍)이 된다는 고사에서, 즉 과거(科擧)에 급제하는 것을 비유한다. 삼기【三紀】36년. 1기(紀)는 12년임. 삼기【參旗】성좌(星座)의 이름으로, 높은 곳을 의미한다. 삼성(參星). 삼년과구극【三年過駒隙】3년이 빠르기가 달리는 망아지가 문틈을 넘어 가는 것처럼 빠르다는 말이다. 삼년불비【三年不飛】3년 동안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훗날 큰 일을 행하려고 얼마동안 자중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취함을 비유하는 말. 삼년불비우불명【三年不飛又不鳴】초(楚)나라의 장왕(莊王)이 왕위에 오른 지 3년이 지나도 영을 내리지 않았으므로 신하 오거(伍擧)가 간한 말. 삼년수축실【三年羞築室】자공(子貢)이 공자가 죽자 심상 삼년(心喪三年)을 마치고 다시 무덤 곁에 작은 집을 짓고 삼 년 동안 시묘(侍墓)살이를 하였다함. 《孟子 藤文公上》 삼년애【三年艾】큰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양약(良藥)을 이름. 7년 동안 앓아 온 큰 병에 뜸질을 하기 위해 3년 묵은 약쑥을 구한다는 데서 온 말이다. 《孟子 離婁上》 삼년작저엽【三年作楮葉】옛날 송(宋) 나라 사람이 임금을 위해 3년 동안 공을 들인 끝에 옥(玉)으로 닥나무 잎사귀를 감쪽같이 만들었는데, 이에 대해 “가령 천지(天地)가 만물을 낼 때 3년 걸려 잎사귀 하나를 만든다면 잎사귀 있는 물건이 많지 않을 것이다.”고 비평한 글이 열자(列子) 설부(說符)에 실려 있다. 삼년적【三年笛】삼년적은 3년 동안 시끄럽게 들려오는 호적(胡笛) 소리. 두보의 세병마행(洗兵馬行) 시에 “3년 동안 호적 소리에 관산의 달 비치누나[三年笛裏關山月]" 하여 당시의 안녹산(安祿山)의 난리를 말하였다. 삼노【三老】장년 삼로(長年三老)의 준말로 뱃사공을 말하는데, 혹은 뱃사공을 장년, 노젓는 사람을 삼로라 하기도 한다. 삼농【三農】봄, 여름, 가을 세 철에 철에 맞게 농사짓는 것을 말한다. 삼농【三農】산농(山農), 야농(野農), 택농(澤農)으로, 농사짓는 것을 가리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