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새마【塞馬】길흉화복이 수시로 변한다는 뜻인 새옹지마(塞翁之馬)의 고사를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변방 근처에 사는 노인의 말이 도망쳐서 오랑캐 땅으로 들어가자 사람들이 모두 위로하니, 그 노인이 ‘이것이 도리어 복이 될는지 어떻게 알겠는가.’ 하였다. 몇 달 뒤에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 여러 마리를 데리고 돌아오자 사람들이 모두 축하하자, 노인은 ‘이것이 화가 될는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집에 좋은 말이 많아졌는데, 그의 아들이 말타기를 좋아하여 말을 타다가 다리가 부러지니, 사람들이 와서 위로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1년 뒤에 오랑캐들이 대거 침입하자 장정들이 모두 나가 싸워 변방 근처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열에 아홉은 죽었다. 그런데 그의 아들만은 다리가 부러진 관계로 부자가 모두 온전하게 살 수 있었다.” 하였다.

새북【塞北】중국의 북쪽 변방. 흔히 강남(江南)의 대칭으로 사용된다.

새상옹【塞上翁】길흉 화복이 수시로 변한다는 뜻인 새옹지마(塞翁之馬)의 고사에 나오는 노인. 회남자(淮南子)에 “새상(塞上)의 한 늙은이가 말을 잃었을 때 이웃 사람들이 위문하자, 말하기를 ‘복이 될지 어찌 알겠는가?’ 하였다. 그 후 그 말이 호준마(胡駿馬)를 거느리고 돌아오매 사람들이 축하하자, 늙은이는 ‘이것이 화가 될지 어찌 알겠는가?’ 하였다. 그의 아들이 그 말을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를 상하매 사람들이 위문하자, 늙은이는 또 ‘복이 될지 어찌 알겠는가?’ 했다. 1년 후에 징병이 있었는데 그 아들은 다리를 절어 출정하지 않아 목숨을 보전하였다.” 한다.

새서【璽書】새서는 중국 천자의 조칙을 말함.

새안불정하리침【塞雁不征河鯉沈】기러기와 잉어는 둘 다 편지를 전한다는 사자인데, 기러기는 한(漢) 나라 소무(蘇武)의 고사요, 잉어는, “객이 먼 곳에서 와 내게 잉어 한 쌍을 주기에, 삶으니 그 가운데 편지 한 장 있었네.”라는 고시(古詩)가 있다.

새연【塞淵】시경(詩經) 정지방중(定之方中)에 “사람의 마음가짐 성실할 뿐만이 아닌지라, 우람한 말 삼천 마리 들어찼도다.[匪直也人 秉心塞淵 騋牝三千]”하였다.

새옹【塞翁】길흉화복이 수시로 변한다는 뜻인 새옹지마(塞翁之馬)의 고사에 나오는 변방에 살던 노인.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이야기. 즉 새옹에게 말이 있었는데, 이 말이 혹은 도망치고 혹은 준마(駿馬)를 끌고 돌아오곤 하는 등 화복이 무상하였고, 또 그 사이 새옹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다리가 부러져서 출전(出戰)하지 않고 목숨을 부지하였다는 줄거리로서, 인간의 화ㆍ복과 길ㆍ흉은 항상 무상한 것이라서 예측할 수가 없다는 대의이다.

새옹녕구마【塞翁寧求馬】세상의 화복(禍福)은 무상함. 새옹실마(塞翁失馬). 《淮南子 人間訓》

새옹실마【塞翁失馬】새옹지마(塞翁之馬)의 고사를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변방 근처에 사는 노인의 말이 도망쳐서 오랑캐 땅으로 들어가자 사람들이 모두 위로하니, 그 노인이 ‘이것이 도리어 복이 될는지 어떻게 알겠는가.’ 하였다. 몇 달 뒤에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 여러 마리를 데리고 돌아오자 사람들이 모두 축하하자, 노인은 ‘이것이 화가 될는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집에 좋은 말이 많아졌는데, 그의 아들이 말타기를 좋아하여 말을 타다가 다리가 부러지니, 사람들이 와서 위로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1년 뒤에 오랑캐들이 대거 침입하자 장정들이 모두 나가 싸워 변방 근처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열에 아홉은 죽었다. 그런데 그의 아들만은 다리가 부러진 관계로 부자가 모두 온전하게 살 수 있었다.” 하였다.

새옹지마【塞翁之馬】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馬). 인생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이란 항시 바뀌어 예측할 수가 없음. 처음엔 말이 오랑캐 땅으로 도망가버려서 낙담했는데, 후에 오랑캐의 준마(駿馬)를 이끌고 돌아 와서 복이 되었고, 아들이 그 말들을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니 도로 화를 초래한 격이 되었다. 그러나 전쟁이 나서 장정들이 끌려가 많이 죽는 일이 생겼는데 아들은 다리가 부러져 나가지 못해서 목숨을 건졌으니 또다시 복이 된 것이다. 즉, 세상 일은 복이 될지 화가 될지 예측할 수 없다는 비유로 쓰인다.

새원【塞垣】장성(長城)을 뜻하는데 여기서는 관북(關北) 지방을 가리킨다.

새태수렴【塞兌垂簾】노자(老子) 52장에, “입을 꽉 다물고 욕망의 문을 닫으면 종신토록 수고롭지 않을 것이다.[塞其兌 閉其門 終身不勤]”라는 말이 나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