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서막【徐邈】삼국 시대 위(魏) 나라 사람. 상서랑(尙書郞)으로 있을 때 금주령(禁酒令)이 있었는데, 막이 술을 마음껏 마시고 취하여 “중성(中聖)이다.” 했다. 조조(曹操)가 듣고 성을 내자, 선우보(鮮于輔)가 “취객들이 술이 맑은 것을 성인(聖人)이라 하고 술이 탁한 것을 현인이라 한다.” 했다는 고사가 있다.

서명【西銘】송(宋) 나라 때 학자(學者) 장재(張載)가 서재(書齋)의 서쪽 창에 걸어 놓았던 명(銘)인데, 인도(仁道)의 원리를 밝혀 놓은 글이다.

서목【鼠目】소견이 작다는 뜻. 쥐의 눈은 작으면서도 밖으로 툭 불거져나와 있어 흡사 탐욕스러워하는 모양이므로 전하여 이렇게 비유한다.

서묘【誓墓】벼슬을 내놓고 고향으로 돌아가 은둔하는 것을 말한다. 육유(陸游)의 상서걸사(上書乞祠) 시에 “서묘하는 것이 어찌 한갓 조상이 그리워서겠는가. 세상이 곳곳마다 위기일레.[誓墓那因一懷祖 人間處處是危機]" 하였는데, 이는 난세를 만나 시골로 내려갈 것을 선영에 고하기 때문이다.

서문루【西門淚】옛 추억을 떠올리며 비통한 심정으로 흘리는 눈물을 말한다. 진(晉) 나라 사안(謝安)의 외생(外甥)이었던 양담(羊曇)이 사안 사후에 추억이 깃들었던 서주(西州)의 성문을 술에 취하여 지나게 되었을 때, 말 채찍으로 성문을 치면서 “살아서는 화려한 집에 사시더니 죽어서는 낙엽처럼 산언덕으로 돌아갔네.[生存華屋處 零落歸山丘]”라는 조자건(曹子建)의 시를 외우고는 대성통곡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晉書 謝安傳》

서문표【西門豹】전국 시대 위(魏) 나라 사람인데, 그가 일찍이 업령(鄴令)으로 나갔을 적에 그곳 풍속이 하백(河伯)에게 부녀자를 시집보내야만 해를 입지 않는다하여, 늙은 여자 무당의 지휘 아래 자주 부녀자를 하수(河水)에 바쳤으므로, 서문표는 그 사실을 들은 즉시 그 늙은 무당들을 하수에 빠뜨려 죽여서 영원히 그런 폐해가 없게 하였다.

서미【胥靡】죄수(罪囚)를 말함.

서박【鼠璞】쥐를 포떠서 말린 쥐포. 쓸모도 없고 별다른 해로움도 없는 하찮은 것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응소전(應劭傳)에 “정(鄭) 나라 사람은 다듬지 않은 옥(玉)을 박(璞)이라 하고, 주(周) 나라 사람은 말리지 않은 쥐를 박(璞)이라 한다. 주 나라 사람이 쥐의 박을 가지고 정 나라 상인을 찾아가서 박을 사지 않으려는가 하므로, 정 나라 상인이 가져다 보니, 바로 쥐의 박이었다.” 하였음. 송(宋) 나라 대식(戴埴)이 이를 따서 책 이름으로 했는데, 그는 명물(名物)의 동이(同異)를 구별한다는 뜻이었음.

서발【舒發】신라 17관등(官等)의 첫째 위계(位階)인 서발한(舒發翰)의 준말로, 벼슬이 태대서발한(太大舒發翰)이었던 김유신(金庾信)을 가리키는 말이다.

서방미인【西方美人】서방(西方)의 미인이란 곧 서쪽 주(周) 나라의 성왕(聖王)을 가리킨 것으로, 시경(詩經) 패풍(邶風) 간혜(簡兮)에 “누구를 생각하느뇨, 서방의 미인이라네. 저 미인이야말로 먼 서방 사람이라오[云誰之思 西方美人 彼美人兮 西方之人兮].” 한 데서 온 말인데 위(衛) 나라의 한 현사(賢士)가 미관 말직인 악공(樂工)의 자리에 있으면서 은밀히 그 불만을 토로함과 동시에 주 나라의 옛 성왕을 사모하여 노래한 것이다.

서백【西伯】서백은 주(周) 나라 문왕(文王)으로, 문왕이 주 나라를 세우기 전에 은(殷) 나라의 서백으로 있었다. 문왕이 은 나라 주(紂)를 물리치자 봉황이 글을 물고 오는 상서가 있었다고 한다.

서백창성【西伯彰聖】고공단보(古公亶父)에게는 맏인 태백(太伯)과 둘째인 우중(虞仲), 그리고 태강(太姜)이 낳은 막내 계력(季歷), 이렇게 세 아들이 있었는데 계력이 장차 서백(西伯)이 될 창(昌)을 낳자 그 창이 성덕이 있음을 알고는 계력에게 위(位)를 전할 뜻을 비쳤으므로 태백ㆍ우중이 자기 아버지 뜻을 알아차리고 형만(荊蠻)으로 망명하여 살면서 막내 계력에게 양보하였음. 《史記 周本紀》

서벽【西壁】홍문관원의 별칭. 홍문관원이 사진(仕進)하여 앉는 좌차(座次)가 그 벼슬의 별칭이 되었으니, 곧 직제학(直提學)ㆍ전한(典翰)ㆍ응교(應敎)ㆍ부응교(副應敎)를 동벽, 교리(校理)ㆍ부교리(副校理)ㆍ수찬(修撰)ㆍ부수찬(副修撰)을 서벽, 박사(博士)ㆍ저작(著作)ㆍ정자(正字)를 남상이라 했다. 그리고 모두 경연을 겸임하였으며, 부제학에서 수찬까지는 또 지제교(知製敎)를 겸임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