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소슬【蕭瑟】가을 바람이 쓸쓸히 부는 모양.

소슬요락【蕭瑟搖落】낙엽이 지는 쓸쓸한 가을을 말한다. 초사(楚辭) 구변(九辯)에 “悲哉 秋之爲氣也 蕭瑟兮 草木搖落而變衰”라는 유명한 구절이 있다.

소슬추【蕭瑟秋】초사(楚辭) 구변(九辨)에 “悲哉 秋之爲氣也 蕭瑟兮 草木搖落而變衰”라는 구절이 있다.

소승【小乘】소승은 불교(佛敎)의 두 가지 큰 교파 중 하나. 대승(大乘)의 교리가 고상하고 심원한 데에 비하면 소승의 교리는 비근하여 이해하기가 쉽다고 한다.

소승【蘇僧】일본의 중 현소(玄蘇)를 가리킨다.

소식담수월【蘇軾談水月】소식이 46세 때인 송 신종(宋神宗) 원풍(元豐) 5년(1082)가을 보름날 밤에 적벽강(赤壁江)에서 배를 타고 놀면서 지은 적벽부(赤壁賦)에서 “강물은 이처럼 흘러가지만 다시 계속 흘러가고 둥근달은 기울어졌다가 다시 둥글어지니, 변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온 천지에 한 순간이라도 변하지 않는 것이 없으나 큰 안목으로 보면 만물과 내 자신은 하나이다.” 하였고, 이어 “모든 물건은 각기 주인이 있어 내 것이 아닌 것은 함부로 가질 수 없으나 강상의 맑은 바람과 산 위의 밝은 달은 끝없이 쏘이고 쳐다볼 수 있으니, 이 얼마나 즐거운 일이냐.” 하였다.

소심익익【小心익익】마음을 작게 하고 공경한다는 말로, 대단히 조심하고 삼가하다란 뜻의 고사성어.

소씨구의【蘇氏舊意】진(晉) 나라 때 장군(將軍) 두도(竇滔)가 사막(沙漠)에 강제로 옮겨지자, 그의 아내 소약란(蘇若蘭)이 비단을 짜면서 거기에 즉 전후 좌우로 아무렇게 보아도 다 말이 되는 매우 처절한 내용의 회문선도시(回文旋圖詩)를 지어 넣어서 남편에게 보냈던 데서 온 말인데, 그 시는 모두 8백 40자(字)로 되었다고 한다. 《晉書 竇滔妻蘇氏傳》

소씨제【蘇氏弟】소식(蘇軾)의 아우 소철(蘇轍)을 말함. 소철이 소년 시절 공부하는 동안 자기 형 소식을 따라 독서하면서 하루도 서로 떨어져 있는 날이 없었는데, 그 후 벼슬길에 오르면서는 형제가 함께 있는 날이 적었다. 언젠가 위응물(韋應物)의 시, “누가 알리 비 오고 바람 부는 밤에, 또다시 침상을 마주하고 자련지.[那知風雨夜 復此對牀眠]”를 읽고서는 서글픈 생각을 금치 못하고, 일찍 벼슬을 버리고 한가로이 지내는 즐거움을 함께 누리자고 약속하였다는 것이다.

소아【素娥】서왕모가 남편에게 준 불사약(不死藥)을 훔쳐 먹고 달 속으로 도망가 달의 선녀가 되었다는 항아(姮娥)를 가리킨다.

소아난기강【小兒亂紀綱】소아는 이보국(李輔國)을 가리키며, 서내(西內)는 태극궁(太極宮)을 말하고 고 장군(高將軍)은 고역사(高力士)를 가리킨다. 상황(上皇)인 현종(玄宗)이 파촉에서 돌아와 흥경궁(興慶宮)에 거처했으며 장경루(長慶樓)에 자주 나오니 부로(父老)들은 그 앞을 지나다가 우러러보고 만세를 불렀다. 이에 숙종에게 불리하다고 생각한 이보국은 장후(張后)와 짜고는 황제의 명령이라 사칭한 다음, 상황을 대내로 옮기고 상황의 심복인 고역사를 무주(巫州)로 귀양보냈으며, 진현례(陳玄禮)를 강제로 치사(致仕)시키니, 상황은 기뻐하지 않아 이 때문에 고기도 먹지 않고 벽곡(辟穀)하다가 병이 들어 세상을 떠났다. 《新唐書 肅宗本紀》

소아욕투비【宵雅欲投畀】참소를 입어 궁형(宮刑)을 받은 사람이 참언한 자를 지극히 미워하면서 이리와 호랑이, 북쪽의 불모지, 하느님에게 던져주고 싶다고 탄식한 노래를 말한다. 《詩經 小雅 巷伯》

소아유유음【宵雅有遺音】시경(詩經) 소아(小雅) 시월지교(十月之交)를 말한다. 10월에 들어서서 일식(日蝕)과 천둥 번개가 치는 현상이 일어난 것은 군신(君臣) 상하가 정치를 잘못한 탓으로서 결과적으로 백성만 피해를 보게 되었다고 원망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