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평【少平】소평은 후한 때의 직신 동선(董宣)의 자인데, 광무제(光武帝) 때에 호양공주(湖陽公主)의 종[奴]이 사람을 죽였으므로, 당시 낙양령(洛陽令)으로 있던 동선이 그를 잡아다 죽이었다. 그러자 공주가 이 일을 임금께 하소연한 결과, 마침내 임금이 동선을 잡아다 놓고 공주에게 사과를 하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자, 억지로 머리를 조아리게 하니, 동선이 두 팔로 땅을 힘껏 버티어 끝내 머리를 숙이지 않으므로, 임금이 마침내 강항령(强項令)을 내보내라고 명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七十七》 소평【邵平】진(秦) 나라 동릉후(東陵侯)로, 진 나라가 망한 뒤에 포의(布衣)로 가난하게 살면서 장안(長安) 성 동쪽에 오이 밭을 일구며 유유자적하게 은사(隱士)의 생활을 즐겼다. 《史記 蕭相國世家》 소평과【召平瓜】소평과는 진(秦)의 유민인 소평(召平)이 장안성(長安城) 동편에 오이[瓜]를 심어서 그것이 유명하였으므로 과(瓜) 자를 붙여 소평과라 한 것인데 소하(蕭何)가 승상(丞相)이 되어 5천 호(戶)의 봉작(封爵)을 받자 소평이 소하에게 “임금에게 의심을 받기가 쉬우니 봉작을 사양하고 받지 말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다가 화를 입었다. 《史記 蕭相國世家》 소평과포【邵平瓜圃】은거(隱居)하고 있다는 뜻 소(邵)는 소(召)로도 쓴다. 사기(史記) 권54에 “평은 진(秦)이 망하자 시골에 은거하여, 장안성(長安城) 동쪽에 외를 심었는데 외맛이 좋았으므로 세속에서 동릉과(東陵瓜)라 하였다.” 한다. 소평포【邵平圃】소평(邵平)이 진(秦) 나라 때 동릉후에 봉해졌는데, 진 나라가 멸망한 뒤에는 가난한 선비의 신분으로 장안(長安)의 성(城) 동쪽에 오색과(五色瓜)를 심어서 생활을 영위했던 데서 온 말이다. 소풍군【小馮君】풍 부총이 명 나라의 이름난 집안의 자제로서, 그의 형과 함께 백성들의 두터운 신망을 받고 있다는 말이다. 한 선제(漢宣帝) 때 대완(大宛)과 서강(西羌)을 정벌하여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진 풍봉세(馮奉世)의 아들 야왕(野王)과 입(立)에 대해, 백성들이 태수로 있을 때의 그들의 치적(治積)을 우러르며 형인 야왕을 대풍군(大馮君)이라 하고 동생인 입을 소풍군(小馮君)이라고 일컬었던 고사가 있다. 《漢書 卷79 馮立傳》 소하【蘇嘏】동래 고적에 소하정(蘇嘏亭)이 있었다. 소가가 늘 흰 사슴을 타고 금귀 선인(金龜仙人)과 거기서 놀았다는데, 새들이 깃들이지 않는다 한다. 《輿地勝覽》 소하【韶夏】소는 순(舜) 임금의 악명(樂名)이고 하는 우(禹) 임금의 악명이다. 소하【蘇賀】인명(人名). 소하원【遡河源】무제(武帝)가 장건(張騫)을 대하(大夏)에 보내 황하(黃河)의 근원을 찾게 하였는데, 장건이 뗏목을 타고 거슬러 올라가다가 견우와 직녀를 만났다고 한다. 《荊楚歲時記》 소하한중【蕭何漢中】소하는 한 고조(漢高祖)의 명상(名相)으로, 그는 만년에 전택(田宅)을 반드시 궁벽한 곳에 마련하고 집에 담장도 치지 않으면서 말하기를 “후손이 어질면 나의 검소함을 본받을 것이고, 어질지 못하더라도 세가(勢家)들에게 빼앗기지는 않을 것이다.” 하였다. 《史記 卷五十三》 소한【宵盰】임금이 정치에 부지런하여 밤중에 일어나 옷을 입고 때가 늦어서야 조반을 먹는다는[宵衣旰食] 말이다. 소한린호묘【蕭閒早已隣湖泖】소한은 원(元) 나라 때의 문인화가인 예찬(倪瓚)의 관명(館名)이고, 호묘(湖泖)는 강소성(江蘇省)에 있는 삼묘호(三泖湖)를 가리킨 말로, 즉 예찬이 이 삼묘호 가에 은거하면서 풍류를 즐겼던 것을 이른 말이다. 소한유난쇠【所恨幽蘭衰】자기가 가진 좋은 경륜(經綸)이 임금에게 쓰이기를 애원하는 말이다. 굴원(屈原)의 이소경에 “그윽한 난초를 두르고서 기다리며 서성댄다.[結幽蘭而延佇]" 한 데서 온 말이다. 소한화【消恨花】유사(遺事)에 “처음에 금원(禁苑) 안에 천엽도(千葉桃)가 있어 꽃이 만발하자 명황이 귀비와 함께 날마다 그 밑에 앉아 잔치했다. 임금이 ‘원추리꽃[萱花]만 근심을 잊게 할 뿐 아니라 이 꽃도 한을 해소시켜 준다.’ 했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