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수심가지 인심난지【水深可知 人心難知】물의 깊이는 알 수 있으나 사람의 속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뜻 수심가지인심난측【水深可知人心難測】물의 깊이는 알 수 있으나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 어렵다. 수압【睡鴨】조는 오리 모양의 향로(香爐). 속이 비어 있어 그 안에 향을 피우면 연기가 입으로 피어나오므로 청한(淸閑)을 즐기는 사람의 애용물이다. 수애합주소【收艾合奏簫】음력 4, 5월의 온화한 때를 가리킴. 소(簫)는 순(舜) 임금의 음악인 소소(簫韶)를 말한 것으로, 순 임금이 지었다는 남풍시(南風詩)에 “남풍(南風)의 훈훈함이여, 우리 백성들의 괴로움을 풀어 줄 만하도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수액【水厄】차를 무리하게 많이 마시게 됨을 이름. 진(晉) 나라 때 왕몽(王濛)이 차를 매우 좋아하여 손이 그의 집에 가면 반드시 차를 마시게 되므로, 당시 사대부들이 이를 매우 고통스럽게 여겨, 매양 왕몽의 집을 방문할 때마다 반드시 “오늘은 수액(水厄)이 있을 것이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수양【修攘】안으로는 정교(政敎)를 잘 닦고 밖으로는 외적의 침입을 잘 방비하는 것을 말한다. 수양【隨陽】태양의 운행에 따라 기러기가 9월에 남쪽으로 왔다가 정월에 북쪽으로 가기 때문에, 기러기가 태양 뒤를 좇는다고 하여 수양(隨陽)이라는 별칭이 생기게 되었다. 수양【首陽】해주(海州)의 옛 이름이다. 수양가인반【垂楊可忍攀】송별(送別)을 뜻함. 한대(漢代)에 장안(長安) 사람들은 으레 손을 전송할 적에는 패교(霸橋)에 나와서 버들가지를 꺾어 주어 송별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수양사미궐【首陽死薇蕨】수양은 산명(山名)으로, 즉 은(殷) 나라의 충신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은 나라가 망하자 의리상 주(周) 나라 곡식을 먹을 수 없다 하여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만 캐먹다가 굶어죽은 사실을 가리킨다. 수어지교【水魚之交】물고기가 물을 얻어야 살 수 있는 것과 같이 부부나 군신 관계의 서로 끊으려야 끊을 수 없는 친밀한 사이를 뜻한다. 변하지 않는 깊은 교우(交友】관계에도 쓰이고 있다. 수여【愁予】나로 하여금 수심에 차게하다. 수여위【守與爲】백성들이 지조가 있어 지킬 것은 지키고 할 것은 하는 것.《書經 洪範》 수역【壽域】인수(仁壽)의 경역(境域)이란 뜻으로 태평한 세상을 말함. 한서(漢書) 예악지(禮樂志)에 “온 세상의 백성을 이끌어 인수(仁壽)의 지역에 오르게 한다.” 하였음. 수연【獸煙】부귀(富貴)한 집에는 숯[炭]가루를 짐승의 모양으로 만들어서 불을 피운다. 수영패【隨營牌】평안도의 관찰사(觀察使),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의 본영(本營)에 직속된 부대를 말한다. 수예【水裔】물가. 수오지심【羞惡之心】미워하고 부끄러워하는 마음. 수오지심의지단야【羞惡之心義之端也】그릇된 것을 부끄럽게 여기는 것은 의(義)의 근본이다. 수와【水渦】수와(水渦)는 목욕하기 위한 조그만 물웅덩이. 궁녀들의 목욕터로 연못에 마련되었다. 수요와변【受饒瓦甂】공자가 진채(陳菜)에서 포위를 당하여 7일 동안을 굶다가 와증(瓦甑)의 밥을 받아먹었다. 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나무가 고요하고 싶어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부모님께 효도를 하고 싶어도 이미 때 늦어 돌아가시고 계시지 않음을 슬퍼하는 말. 풍수지탄(風樹之歎)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