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순상【馴象】순상은 잘 길든 코끼리이다.

순상【舜裳】임금의 정치. 주역(周易) 계사하(繫辭下)에 “황제ㆍ요ㆍ순은 의상을 늘어뜨리고서 천하를 다스렸다.[黃帝堯舜垂衣裳而天下治]" 라 하였음.

순생동【筍生凍】효성이 지극함을 말한다. 진서(晉書) 권94에에 “맹종(孟宗)의 어머니가 죽순을 좋아하였는데, 겨울이라서 죽순을 얻을 수 없으므로 대숲에 들어가서 슬피 탄식하니, 죽순이 돋아났다.” 하였다.

순서【馴犀】길들인 무소. 남방의 무소가 북방인 중국으로 와서는 추위를 견디지 못하여 죽었다는 것으로, 정치는 끝 마무리를 잘하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하여 읊은 시의 제목. 풍유(諷諭)에 보임.

순석【筍石】죽순 모양으로 뾰족뾰족하게 된 돌을 이름.

순선【旬宣】순선은 왕명을 사방에 선포하는 것으로, 감사(監司)의 직무를 말한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강한(江漢)의 “임금님이 소호에게 명하시기를, 왕명을 두루 선포하라 하시다.[王命召虎 來旬來宣]”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순성【順性】법원(法苑) 주림(珠林)에 “진(晉)의 사문(沙門) 법상(法相)이 혼자 산사(山寺)에서 수도에 정진하고 있을 때 온갖 조수(鳥獸)들이 측근에 모여들었는데, 그 성질이 온순하여 가축(家畜)과 같았다.” 하였다.

순수【純粹】깨끗하다. 

순수【鶉首】순수는 별 자[星次]리 이름인데, 고대의 천문학으로 진(秦) 나라의 분야(分野)에 해당한다 한다. 순수는 마치 메추리 머리와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는 “정수(井宿)에서 유수(柳宿)까지를 순수의 별 자리라 하는데, 진 나라의 분야이다. 이 때문에 관중(關中)을 순거(鶉居)라 한다.” 하였으며, 진서(晋書) 천문지(天文志)에는 “동정(東井) 16도에서 유수 8도까지가 순수인데 진 나라의 분야이며 옹주(雍州)에 해당한다.” 하였다.

순순【沌沌】남을 꾸준히 가르치는 모양, 일에 전일하는 모양

순순【恂恂】삼가고 삼가는 모양, 진실한 모양, 두려워하고 근심하는 모양

순순【淳淳】순박한 일, 유동하는 모양, 조용히 흘러가는 모양

순순【徇徇】질서 바른 모양, 정연한 모양

순순【啍啍】정성스럽고 친절한 모양

순시【旬時】순시는 본디 성명(星名)으로 황천(皇天)의 이름이다. 사마상여(司馬相如)의 대인부(大人賦)에는 “垂旬時以爲幓兮”라 하여, 순시를 깃발[幓]로 삼는다고 했다.

순씨【荀氏】순씨는 동한(東漢)때 영천(穎川)의 영음(穎陰)땅에서 순열(荀悅)ㆍ순욱(荀彧)ㆍ순숙(荀淑)ㆍ순상(荀爽)등 당대의 명사를 많이 배출한 순씨 집안을 말한다.

순악문래동솔무【舜樂聞來同率舞】순 임금의 신하인 전악관(典樂官) 기(夔)가 순 임금께 아뢰기를 “아, 제가 경(磬)을 치고 두드리니, 온갖 짐승들도 다 같이 춤을 추었습니다.” 한 데서 온 말로, 즉 태평 성대를 의미한다. 《書經 益稷》

순양【純陽】여자와의 관계가 없는 총각의 양기. 도가(道家)에서는 순양을 보유하여야 도를 이룬다고 한다.

순양【荀楊】전국(戰國) 때의 순자(荀子)와 한(漢)나라의 양웅(楊雄)을 말하는데 이들은 유학(儒學)의 문장으로 유명하다.

순양전【循良傳】순리(循吏)ㆍ양리(良吏)의 전기.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