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식객병주리【食客屛珠履】문객(門客)들을 후히 접대하였음을 비유한 말. 전국 시대 초(楚) 나라 춘신군(春申君)의 문객들이 모두 구슬로 장식한 신을 신었던 데서 온 말이다.

식괴【植槐】송(宋)나라의 왕우(王祐)가 뜰에 회화나무 세 그루를 심고는, “자손 중에 반드시 삼공(三公)의 벼슬이 나올 것이다” 했는데, 과연 그 아들 단(旦)이 정승이 되었음.

식교상우【息交尙友】식교는 세상 사람들과의 교제를 그만두는 것을 말하고, 상우는 거슬러 올라가 옛날의 어진 사람들을 벗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식금【食芩】손님을 대접하는 잔치의 노래. 시경(詩經) 녹명편(鹿鳴篇)에 귀빈을 사슴에 비유하여, “머머 우는 사슴은 들의 금풀을 먹누나[呦蚴鹿鳴 食野之芩].”라고 노래했다.

식덕【食德】선인(先人)이 남긴 은택을 향유하는 것을 말한다.

식로【息老】고려 중기의 문인으로 호가 식암(息菴)인 이자현(李資玄)을 가리킨다.

식마간【食馬肝】말의 간[馬肝]은 본디 독성이 있어 사람의 생명을 해치는 것이라고 하는데, 한 경제(漢景帝) 때 원고생(轅固生)과 황생(黃生) 두 선비가 경제 앞에서, 탕(湯)과 무왕(武王)이 걸(桀)ㆍ주(紂)를 주멸하고 자신들이 천자가 된 데 대하여 시비(是非)를 격렬하게 쟁론하자, 경제가 이르기를 “고기를 먹되 말의 간은 먹지 않아도 맛을 모르는 게 되지 않고, 학문을 논하는 자가 탕과 무왕의 수명(受命)에 관한 것은 말하지 않아도 어리석음이 되지 않는다.” 한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一百二十一》

식마간【食馬肝】임금을 잘못된 길로 유도하는 신하를 풍자한 것이다. 한 무제(漢武帝)가 죽은 이부인(李夫人)을 잊지 못한 나머지, 귀신을 잘 부린다는 방사(方士) 소옹(少翁)을 후대하며 문성장군(文成將軍)에 임명하였는데, 뒤에 그가 속임수를 쓴다는 사실을 알고 처형하고 나서, 이를 숨기기 위해 그가 독성(毒性)이 강한 마간(馬肝)을 먹고서 죽었다고 둘러대었다. 《史記 卷28 封禪書》

식마불음주상인【食馬肉不飮酒傷人】너그러운 마음으로 은혜를 베푼다는 뜻의 고사성어.

식면【識面】식면은 얼굴을 서로 아는 사이를 말하고, 정신은 권력 있는 사람에게 자신을 천거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을 말하는데, 송(宋) 나라 때 손변(孫抃)이 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어 평소 얼굴도 모르는 당개(唐介) 등을 천거하여 대관(臺官)으로 삼자, 혹자가 얼굴도 모르는 사람을 대뜸 천거하는 것이 무슨 까닭이냐고 물으니, 그가 대답하기를 “옛 사람은 정신어사(呈身御史)를 부끄럽게 여겼는데, 지금 어찌 식면대관(識面臺官)을 구해서 되겠는가.”고 하였다.

식무어【食無魚】맹상군(孟常君)의 식객(食客) 풍환(馮驩)이 노래하기를, “밥에 생선이 없네.[食無魚]”라 했다. 사기(史記) 실세(失勢)를 말한다.

식무육【食無肉】소식(蘇軾)의 시에, “밥 먹을 때에 고기가 없을지언정 거처하는 곳에 대[竹]가 없을 수 없다.” 하였다.

식미【式微】시경(詩經) 패풍(邶風)의 편명(篇名)으로, 고국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읊은 시이다. 그 시에, “쇠미하고 쇠미하거늘 어찌하여 돌아가지 아니하는가.[式微式微 胡不歸]”하였다. 옛날에 여후(黎侯)가 나라를 잃고 위(衛) 나라에 의탁해 있을 때 그를 수행한 신하들이 가엾은 처지를 슬퍼해서 지었다 한다.

식미지사【食薇志士】고사리 먹는 지사(志士)는 주(周) 나라 곡식을 먹지 않고 고사리만 캐 먹다가 굶어 죽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가리킨다.

식미편【式微篇】시경(詩經) 패풍(邶風) 식미편은 여후(黎侯)가 나라를 잃고 위(衛) 나라에 우거(寓居)해 있자 그 신하가 여후를 위하여 지은 시라고 한다.

식불이미【食不二味】음식이 두가지 맛이 아니다라는 말로, 음식을 잘 차려먹지 못함을 이른다.

식성온태위【識聲溫大尉】진(晉) 나라 사람 온교(溫嶠). 환온(桓溫)이 나서 돌이 못 되어 온교가 보고 말하되, “이 애가 기특한 골상이 있으니 시험하여 울려 보자.” 하고는 그 우는 소리를 듣고 말하기를, “참으로 영물(英物)이로다.” 하였다.

식소사번【食少事煩】먹는 것은 적은데 할 일은 많은 것, 결국 오래 살지 못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식속조교장【食粟曹交長】여기서 곡식 먹는다는 말은 곧 서민이란 뜻인데, 조교(曹交)가 맹자(孟子)에게 “나도 문왕(文王)만큼 키가 큰데 어째서 문왕이 못 되고 곡식만 먹습니까.” 한 데서 인용한 말이다. 《孟子 告子下》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