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강관【絳灌】강관은 한 나라의 개국공신인 강후(絳侯) 주발(周勃)과 영음후(潁陰侯) 관영(灌嬰)의 병칭이다.

강관【江關】관(關) 이름. 큰 강물이 두 산 사이를 흐르며 형세가 극히 험준하여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다고 함. 《後漢書 岑彭傳》

강관【羌管】피리를 가리킨다.

강관【絳灌】한 패공(漢沛公)의 신하인 강후(絳侯) 주발(周勃)과 관영(灌嬰)으로 무신(武臣)을 가리킨 것이다.

강굉공피【姜肱共被】형제간의 우애를 뜻한다. 강굉은 후한(後漢) 사람으로 자가 백회(伯淮)인데, 두 아우인 중해(仲海)ㆍ계강(季江)과 우애가 지극하여 항상 한 이불을 덮고 함께 잤으므로 강굉공피(姜肱共被)라는 고사가 생기게 되었다. 《後漢書 卷五十三 姜肱傳》

강굉피【姜肱被】후한(後漢)의 강굉(姜肱)이 동생인 중해(仲海)ㆍ계강(季江)과 지극히 우애하며 늘 한 이불을 덮고 잤던 고사가 있다. 《後漢書 姜肱傳》

강교노과다【講郊魯過多】노(魯) 나라는 제후국으로서 교제(郊祭)를 지낸 것은 잘못이라는 뜻이다. 교(郊)는 천자가 하늘에 제사하는 교제(郊祭)를 말하는데 공자는 “노나라의 교제와 체제(禘祭)는 예가 아니다.” 하였다. 《禮記 禮運》

강구【康衢】사통오달(四通五達)의 큰 거리.

강구연월【康衢烟月】오거리(康)와 네거리(衢)에 밥짓는 연기가 자욱한 세월.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

강구연월【康衢煙月】평화스러운 대낮의 길거리 풍경과 저녁 짓는 굴뚝 연기가 달을 향해 피어오르는 풍경. 살기좋고 평화로운 태평시대를 상징한다.

강구요【康衢謠】강구는 큰 길거리로 오달(五達)을 강(康), 사달(四達)을 구(衢)라 한다. 옛날 요(堯) 임금이 천하를 다스린 지 50년에 천하가 잘 다스려지는가, 백성들이 자기를 위하고 있는가를 알기 위하여 미복(微服)으로 강구에 나갔더니, 아이들의 동요(童謠)에 “잘사는 우리 백성들 모두 임의 덕(德)이라오. 우리들은 알 것 없고 오직 임금의 법만을 따를 뿐이네.[立我蒸民 莫非爾極 不識不知 順帝之則]" 하였다. 요 임금이 기뻐서 “누구에게 배웠느냐?" 고 묻자, 아이들은 “대부(大夫)에게 배웠다.” 하였다. 《列子 仲尼》

강구음【康衢吟】강구음은 요 임금 때에 천하가 태평함에 따라 세간에 유행했던 동요(童謠)이다.

강궁【絳宮】강궁은 곧 사람의 마음을 가리킨다.

강궐【絳闕】선궁(仙宮)을 가리킨다.

강궐청도【絳闕淸都】강궐은 붉은색을 칠한 대궐의 문이고 청도는 옥황상제가 사는 궁궐로, 신선 세계를 뜻한다.

강근지친【强近之親】도와줄 만한 가까운 친척. 아주 가까운 일가.

강금【姜衾】형제를 말한다. 후한(後漢) 때 강굉(姜肱)이 그의 두 아우인 강중해(姜仲海), 강계강(姜季江)과 함께 우애가 지극해서 잠을 잘 때 반드시 한 이불을 덮고 잤다고 한다. 《後漢書 卷53 姜肱傳》

강기숙정【綱紀肅正】법령, 명령, 규칙 풍습 등을 엄격히 지키게 하는 것.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