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게【偈】가타(伽陀). 부처의 공덕을 찬미하거나 그 교리를 밝히는 일정한 형태의 노래. 송(頌), 구송(句頌)이라고도 한다. 사자(四字) 사구(四句)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여러 가지 자유로운 형태가 있다.

게【偈】부처의 공덕이나 교리를 찬미하는 노래나 글귀. 4구로 되어 경의 끝에 붙는다.

게게【揭揭】높이 오르는 모양

게려천심【揭厲淺深】《시경》에, “얕으면 옷을 걷고[揭] 건너고, 깊으면 옷 벗고[厲] 건너네.” 하였다.

게송【偈頌】불서(佛書)에서 외기 쉽게 구(句)로 지어 부처의 공덕을 찬양한 노래.

게일【愒日】구차히 자리만 차지하고 세월을 보내는 것을 말한다. 좌전(左傳) 소공 원년에 “조맹(趙孟)은 장차 죽을 것이다. 백성의 윗사람이 되어 세월만 보낸다.” 하였다.

격【격】벼슬을 하라고 부르는 문서

격격【格格】새울음 소리의 형용, 물건을 들어 올리는 모양, 청대에 일부 귀족의 여자를 이르던 말

격경양【擊磬襄】춘추(春秋) 시대 노(魯)의 악관(樂官)이었던 사양자(師襄子). 논어 미자(微子)에, “경쇠 치던 양은 바다로 들어갔다.” 하였음.

격기【格氣】해의 위 또는 아래에 가로놓인 듯이 나타나는 푸르고 붉은 운기(雲氣)

격대정【擊大丁】은(殷) 나라 임금 무을(武乙)이 가죽 주머니에다 피를 넣어 나무에 매달아 놓고 활로 쏘아 맞추고 나서, “내가 하늘과 싸워서 이겼다.” 하더니, 들에 나갔다가 벼락에 맞아 죽었다.

격만해랑위【隔幔解郞圍】말재주가 비범한 것을 말함. 진(晉) 나라 왕헌지(王獻之)가 손님과 어떤 일로 토론을 하는데 손님에게 몰려 곤경에 처하게 되자 그의 형수 사도온(謝道韞)이 “작은 서방님을 위하여 포위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하고서 푸른 비단 장막을 펴서 자기 몸을 가리고 왕헌지가 앞서 한 말을 이어 변론하니, 그 손님이 꺾지 못하였다고 함. 《晉書 卷九十六 謝道韞傳》

격묘【格苗】묘(苗)는 곧 묘족(苗族)인 삼묘(三苗)를 말하는데,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에 “제[舜]가 문덕(文德)을 크게 선포하니 칠순에 묘가 이르러 오다.[帝乃誕敷文德 七旬有苗格]" 하였다.

격물치지【格物致知】사물의 이치를 구명하여 자기의 지식을 확고하게 함.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후천적인 지식을 명확히 함, 낱낱의 사물에 존재하는 마음을 바로잡고 선천적인 양지(良知)를 갈고 닦음.

격발【擊鉢】시를 짓는 재주가 아주 민첩한 것을 말한다. 남조(南朝) 제(齊) 나라 때 소자량(蕭子良)이 문인들을 모아 놓고 촛불이 1촌만큼 탈 동안에 시 짓는 놀이를 하였는데, 소문염(蕭文琰)이 시간이 너무 길다고 하면서 쇠그릇을 한 번 쳐서 소리가 그치는 사이에 시를 짓는 것으로 고치고서는 그 사이에 즉시 시를 지었다. 《南史 卷59 王僧孺列傳》

격발각촉【擊鉢刻燭】시를 빨리 짓는다는 뜻. 《南史》 왕승유전(王僧孺傳)에 “경릉왕자(竟陵王子)가 일찍이 학사(學士)들을 모아 놓고 초에다 금을 그은 다음, 그 금까지 초가 닳도록 사운시(四韻詩)를 짓게 하였는데, 소문염(蕭文琰)이 ‘그게 뭐 그리 대단한가.’ 하고, 사람을 시켜 동발(銅鉢)을 침과 동시에 운을 부르게 하고 그 동발의 음향이 끊이기 전에 시를 지었다.” 하였다.

격사홀【擊蛇笏】송 진종(宋眞宗) 때 영주(寧州) 천경관(天慶觀)에 있는 요상한 뱀이 영물(靈物)이라고 소문이 나서 그 고을 자사(刺史) 이하 수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찾아가 정성껏 예를 차렸는데, 강직하기로 유명한 공도보(孔道輔)가 “밝은 곳은 예악(禮樂)이 있고 어두운 곳은 귀신이 있는 법이니 이 뱀은 요망한 것이 아닌가. 우리 백성을 속이고 우리 풍속을 어지럽히니 죽여 없애야 한다.” 하고 홀(笏)로 그 머리를 쳐서 죽였다고 한다. 《徂徠石先生文集 卷六 擊蛇笏銘》

격산【鬲山】서로 격절(隔絶)된 산을 말함.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