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계극【棨戟】계극은 적흑색(赤黑色) 비단으로 싼 나무 창. 왕공(王公) 이하의 관리(官吏)가 나갈 때 전구자(前驅者)가 가짐. 관리가 지방에 돌아다닐 때 앞길을 인도하는 의장용으로 쓰인다. 곧 관리의 행차를 뜻한다. 계극빈상【啓棘賓商】하우(夏禹)의 아들 계(啓)가 빈려(賓旅)ㆍ상고(商賈)의 어려움을 겪다. 계기삼락【啓期三樂】공자(孔子)가 태산(泰山)에서 영계기(榮啓期)가 녹구(鹿裘)를 입고 새끼 두르고 거문고를 타며 노래하는 것을 보고 무엇이 그리 즐거우냐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하늘이 만물을 내매 사람이 가장 귀한데 내가 사람이 되었으니 한 가지 낙이고, 남자는 귀하고 여자는 천한데 내가 남자가 되었으니 두 가지 낙이고, 사람이 나서 일월을 보지 못하고 강보에서 죽는 자가 많은데 내 나이 90이니 이것이 세 가지 낙이다.” 하였다. 《列子 天瑞》 계녀【季女】계녀는 젊은 부인을 이른 말로, 시경(詩經) 소남(召南) 채빈(采蘋)에 “맛좋은 나물을 사당에 차리는데 이 일을 누가 주관하는고 공경스러운 계녀로다[于以奠之 宗室牖下 誰其尸之 有齊季女]” 한 데서 온 말이다. 계녀【季女】막내 딸, 아리따운 신혼의 아내를 가리키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차할(車舝)에, “수레의 굴대 빗장 빙글빙글 돌림이여, 예쁜 막내딸을 생각하여 감이로다.[間關車之舝兮 思變季女浙逝兮]”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 시는 신혼 부부의 즐거움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계년【계年】15세. 옛날에 남자는 15세에 태학(太學)에 입학하였고, 여자는 15살만 먹으면 쪽을 올리고 비녀를 꽂았다. 그래서 계年(계년)이라면 여자 나이 15세를 가리킨다. 계당수불계【溪堂修祓禊】계당은 시냇가에 있는 정자를 말한다. 계제사는 3월 삼짇날 물가에 가서 흐르는 물에 목욕하고 신께 빌어 재앙을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풍속인데, 흔히 문인들이 3월 삼짇날 물가에 모여 시를 짓고 술을 마시며 즐기는 일을 가리킨다. 계도【桂櫂】계도는 계수나무로 만든 노로서 고상한 은자(隱者)의 상징임. 楚辭 九歌 湘君에 “계목의 노와 난목의 갑판으로 얼음으로 깨고 저어가도 눈이 곧 쌓이누나[桂櫂兮蘭枻 斲氷兮續雪]" 하였음. 계도【計都】성명가(星命家)에서 말하는 십일요(十一曜)의 하나로, 즉 18년 만에 하늘을 일주(一週)한다고 한다. 계돈사【雞豚社】한 마을 사람들이 계(契)를 결성하여 친목을 도모하는 것을 이름. 당 나라 한유(韓愈)의 남계시범시(南溪始泛詩)에 “원컨대 같은 계원이 되어서 닭과 돼지로 봄 가을에 잔치를 하고 싶네[願爲同社人 鷄豚燕春秋]” 한 데서 온 말이다. 계등【溪藤】중국 절강성(浙江省) 섬계(剡溪)의 등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 그 물이 종이를 만들기에 적합하고, 그 부근에서 나는 등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가 유명하므로 나온 이름임. 예로부터 최고의 품질로 각광을 받았다. 계락산【稽落山】후한 화제(後漢和帝) 때에 장군 두헌(竇憲)이 북선우(北單于)의 군대를 계락산에서 크게 격파했었다. 계란유골【鷄卵有骨】달걀에 뼈가 있음. 뜻밖의 장애(물)로 인해 공교롭게 일이 방해됨을 이름. 늘 일이 안 되던 사람이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났으나 역시 일이 잘 안됨 계란투석【鷄卵投石】계란으로 바위 치기. 보잘 것 없는 힘으로 대들어 보아야 별수가 없음 계로【啓路】길을 열다. 계로여금각희문【季路如今卻喜聞】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자로(子路)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허물을 말해 주면 기뻐하였다.” 하였다. 계루고【鷄婁鼓】악기(樂器) 일종으로 작은 북을 가리킨다. 《唐書 禮樂志》 계륜【季倫】계륜은 진(晉) 나라 석숭(石崇)의 자(字). 왕개(王愷)가 산호(珊瑚) 지팡이를 석숭에게 보여주니, 숭이 다 보고 나서 쇠지팡이로 쳐서 당장 산산조각을 내버렸다. 《晉書卷三十三》 계륜지첩【季倫之妾】계륜은 진(晉) 나라 석숭(石崇)의 자. 석숭이 굉장한 부자로 호화를 누릴 때 녹주라는 애첩을 두었다. 손수(孫秀)가 달라 했으나 숭이 허하지 않으니, 수가 숭을 체포하려 오니 녹주가 다락에서 떨어져 죽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