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계모【溪毛】물에 있는 마름[藻]으로 제사에 쓰인다.

계모문서【雞毛文書】급히 전달해야 하는 서신(書信)에다 닭의 깃을 꽂아서 보냄으로써 신속하게 전해야 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인데, 이것을 우격(羽檄)이라고도 한다. 《後漢書 卷一 光武帝紀》

계모행료【溪毛行潦】좌전(左傳) 은공(隱公) 3년에 “참으로 밝은 신의만 있다면 도랑과 못가의 풀이나 행길의 흙탕물이라도 귀신에 드릴 만하고 왕공에 아뢸 만하다.” 하였음.

계목【鷄鶩】다른 사람과 자기의 서법을 부질없이 비교하는 것을 이르는 말. 진(晉) 나라 때 유익(庾翼)이 젊은 시절에는 왕희지(王羲之)와 나란히 서법(書法)으로 이름을 떨쳤는데, 그 후 왕희지의 서법이 크게 진전이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남들이 왕희지를 칭찬하는 것을 싫어하여 형주(荊州)에 있을 때 도성에 있는 벗에게 보낸 편지에서, “어린 자들이 집안의 닭은 경시하고 들오리를 좋아하여 왕희지의 서법을 배우니, 내가 그와 겨루어 보아야겠다.” 하였다 한다. 《南史 王僧虔傳》

계목【鷄鶩】닭과 오리. 간신들이 활개치는 것을 비유.

계몽【鷄夢】죽을 조짐을 말한다. 진서(晉書) 제79권 사안전(謝安傳)에, “사안이 병이 위독해지자 구슬프게 부모에게 말하기를, ‘예전에 환온(桓溫)이 있었을 적에 내가 항상 온전하지 못할까 두려워하였는데, 홀연히 꿈에 환온의 가마를 타고 16리를 가다가 흰 닭 한 마리를 보고는 꿈을 깨었습니다. 환온의 가마를 탄 것은 그의 자리를 대신한 것이고, 16리를 간 것은 지금이 그의 자리를 대신한 지 16년째 되는 해입니다. 그리고 흰 닭은 유(酉)를 주관하는데, 지금의 태세(太歲)가 유(酉)입니다. 그러니 저의 병은 아마도 낫지 않을 듯합니다.’ 하였다.” 하였다.

계몽빈천【啓夢賓天】계(啓)가 꿈에 하늘에 올라갔다는 뜻.

계무소출【計無所出】계획(계책)이 나오는 바가 없음. 생각이 도무지 나지 않음을 말함

계문【薊門】연경팔경(燕京八景)의 하나로 곧 계구(薊丘)인데 오늘날 북경시 덕승문(德勝門) 밖의 지역임.

계문【薊門】중국 북평(北平)에 있는 지명. 북평 팔경(北平八景) 중의 하나로 계문 연수(薊門煙樹)가 있음. 《燕京歲時記》

계방【桂榜】계방은 대과(大科)에 급제한 사람을 적은 방목(榜目)이다.

계방【季方】후한(後漢) 때의 명사인 진심(陳諶)의 자. 진심은 덕행(德行)이 자기 형인 진기(陳紀)와 똑같아서 매우 명망이 높았으므로, 전하여 타인(他人)의 아우를 높여 일컫기도 한다.

계방난제【季方難弟】계방(季方)은 동한(東漢) 진식(陳寔)의 둘째 아들 심(諶)의 자임. 심이 그의 형 기(紀)와 함께 재주와 덕을 겸비하여 당시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는데, 진식이 두 아들을 칭찬하기를 “원방(元方 紀의 자)은 형으로 삼기 어렵고 계방은 아우로 삼기 어렵다.” 하여 서로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말하였다. 《世說新語 德行》

계백【階伯】백제의 장군. 나당 연합군이 쳐들어오자 처자가 적국의 노비가 되지 않도록 손수 죽이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맹세한 뒤에 결사대 5천 명을 거느리고 황산벌에서 신라군과 용전분투하다가 장렬하게 죽었다.

계백기신자색한【係帛羈臣紫塞寒】한 무제(漢武帝) 때 사람 소무(蘇武)가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가서 억류를 당하였다. 한 나라에서는 그의 소식을 모르고 있었는데, 소무가 기러기 발에 매어 보낸 편지를 받아 보고, 송환 교섭을 하여 19년 만에 돌아왔다. 《漢書 卷五十四 李廣蘇建傳》

계변주발룡응복【溪邊呪鉢龍應伏】옛날에 어느 고승이 큰 못 속에서 장난하는 악룡(惡龍)을 주문을 외어서 잡아다가 바리때 안에 집어넣었다 한다.

계비【啓悱】비는 마음 속으로는 이해하면서도 말로 표현하지 못함을 뜻한다. 공자가 이르기를 “비하지 않으면 계발해 주지 않는다.[不悱不發]”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述而》

계비【季備】석숭(石崇)의 자.

계빈【罽賓】서역(西域)에 있는 나라 이름. 《漢書 西域傳》

계빈찬【戒賓贊】계(戒)는 고(告)의 뜻으로, 관례(冠禮)를 치를 집의 주인이 자신의 요우(僚友)인 사람을 빈(賓)으로 맞아 자기 집의 관례를 맡아보아 달라고 고하는 것을 말하고, 찬은 곧 빈의 집례(執禮)를 보좌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儀禮 士冠禮》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