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금곡【金谷】금곡은 중국 하남(河南) 낙양시(洛陽市) 서북쪽에 있는 땅 이름인데, 진 무제(晉武帝)때 부자 석숭(石崇)이 그곳에 호화로운 별장[金谷園]을 만들어 놓고 호사를 누렸다 하여 그를 가리킨다. 자기의 애첩 녹주(綠珠)를 달라는 권신 손수(孫秀)의 요구를 거절한 일로 그의 모함에 걸려 처자 등 일족 15인과 함께 처형되었는데, 처형되기 위해 수레에 실려 동시(東市)로 나갈 때 한탄하기를 “종놈들이 내 재산을 탐낸 것이다.” 하자, 압송해가는 사람이 대답하기를 “재산이 해를 끼치는 줄 알았으면 어찌 일찌감치 분산시키지 않았는가.” 하였다 한다. 《晉書 卷三十三》 금곡【金谷】중국 하남(河南) 낙양시(洛陽市) 서북쪽에 있는 지명으로, 금곡간(金谷澗) 또는 금곡원(金谷園)이라고도 불린다. 진(晉)나라 석숭(石崇)이 그곳에 동산을 만들어 놓고 벗들과 밤낮으로 연회를 베풀어 즐기면서 각자 시를 짓도록 하고 짓지 못한 자는 벌주 서 말을 마시게 했다 한다. 《世說新語 品藻 注》 금곡기【金谷妓】금곡기는 곧 진(晉) 나라 때 석숭(石崇)이 금곡원(金谷園)에서 주연(酒宴)을 하면서 데리고 놀던 애기(愛妓) 녹주(綠珠)를 말한다. 금곡롱리곤【琴曲弄離鵾】옛날에 서로 화답하는 노래 가운데 있었다는 곤계곡(鵾鷄曲). 금곡원【金谷園】금곡원은 진(晉) 나라 석숭의 별장 이름. 석숭이 항상 금곡원에 빈객들을 모아 놓고 술을 마시고 시를 읊으면서 아주 호화롭게 놀았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금곡원제노【金谷怨齊奴】금곡원은 진(晉) 나라 석숭(石崇)의 별장이고 제노는 제 왕경(齊王冏)을 말한다. 석숭에게 애첩(愛妾) 녹주(綠珠)가 있었는데, 손수(孫秀)가 여인을 탐내어 석숭의 생질인 구양건(歐陽建)을 잡아 가두고 그녀를 요구하였으나 얻지 못했다. 이에 숭과 건을 죽이려는 계략으로 거짓 조서(詔書)를 꾸며 숭이 잡혀가게 되었는데, 숭이 그녀에게 “내가 너 때문에 죄를 받게 되었다.” 하자 그녀가 울면서 “죽음으로써 절개를 보이겠다.” 하고 누대에서 뛰어내려 죽었다. 《晉書 石崇傳》 금곡장【金谷障】진(晉) 나라 석숭(石崇)의 금보장(錦步障)을 말하는데, 귀인(貴人)들이 출행할 때 바람이나 먼지를 막기 위해 치는 비단 장막이다. 금곡타루【金谷墮樓】진(晉) 나라 때 부호(富豪) 석숭(石崇)의 애기(愛妓)인 녹주(綠珠)가 금곡원(金谷園)의 청량대(靑涼臺)에서 떨어져 자살한 것을 말한다. 금곤【金昆】금우옥곤(金友玉昆)의 준말로, 남의 형제를 칭찬하여 이른 말이다. 금골【金骨】금골(金骨)은 선골(仙骨)과 같은 말이다. 금과옥조【金科玉條】금이나 옥같이 귀중한 법칙이나 규정. 잘 정비된 나라의 법칙과 제도, 기틀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금관성【錦官城】금관성은 촉한 소열제(蜀漢昭烈帝)의 도읍지인 성도(成都)를 가리킨다. 현 사천성 성도현(成都縣) 서남. 금광장육신【金光丈六身】석가(釋迦) 당시 인도인(印度人)의 신장은 보통 8척이었는데, 불교도들이 교조를 존숭한 나머지 불상을 조성할 때 두 배로 더 크게 만들었다고 한다. 《後漢書 西域 天竺傳ㆍ佛說十二遊經》 금광초【金光草】먹으면 장수를 누린다는 풀로 명경초(明莖草)의 일종이다, 신선 영봉(寧封)이 항상 먹었다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