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기상【旂常】기(旗)의 이름인데, 교룡(交龍)을 그린 것이 기(旂), 일월(日月)을 그린 것이 상(常). 기상【沂上】기상은 기수(沂水)의 물가인데, 공자가 여러 제자들에게 각기 자기의 뜻을 말해 보라고 했을 때 증점(曾點)은 대답하기를 “늦은 봄에 봄옷이 만들어지면 관을 쓴 자 오륙 인에다 동자 육칠 인과 함께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쐰 다음 읊조리며 돌아오겠습니다.” 한 데서 나온 말이다. 《論語 先進》 기상【旗常】기상의 기는 교룡(蛟龍)을 그린 기이고, 상은 일월(日月)을 그린 기로서 모두 왕자(王者)의 정기(旌旗)이다. 기상【旂常】용을 그린 기를 기(旂)라 하고, 해와 달을 그린 기를 상(常)이라 한다. 고대에 왕은 태상(太常)을 사용하고 제후는 기(旂)를 사용했는데, 생전의 공적을 기록하는 의식으로 썼다. 역사서 등을 뜻함. 기상영【沂上詠】동문(同門)의 친구들과 함께 교외(郊外)에 소풍(消風)하는 즐거움을 말한다. 논어(論語) 선진편(先進篇)의 “관자(冠者) 5~6인과 동자(童子) 6~7인으로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無雩)에서 바람 쏘이며 읊조리다가 돌아오겠다.”라는 대목에서 나온 문자다. 기상유맥정성침【期桑留麥正聲沈】음란한 시 때문에 정성(正聲)이 침체되었다는 말. 기상은 시경(詩經) 용풍(鄘風) 상중(桑中)에 “나를 상중에서 만나기를 약속하며, 나를 상궁에서 맞이한다.[期我乎桑中 要我乎上宮]" 한 말을 인용한 것인데, 이는 남녀가 밀회(密會)한 것을 읊은 시이다. 유맥은 시경(詩經) 王風 丘中有麻에 “언덕에 보리가 있으니, 그 사람 자국이 머무르고 있도다.[丘中有麥 彼留子國]" 한 시를 인용한 것인데 이 역시 남녀간의 음란함을 읊은 시이다. 기상천외【奇想天外】보통 사람이 쉽게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엉뚱하고 기발한 생각 기선서여지【豈羨蜍與志】인품이 모자란 사람은 재능이 있어도 부러울 것이 없다는 뜻이다. 조여(曹蜍)와 이지(李志)는 옛날 글씨를 잘 썼던 사람들이나 인품이 워낙 모자라서 글씨가 후세에 전하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인데, 세설신어(世說新語) 품조(品藻)에는 “염파(廉頗)ㆍ인상여(藺相如)는 죽었지만 기상이 늠름하여 생기가 있고, 조여ㆍ이지는 살았다 하더라도 죽은 사람과 같다.” 하였고, 황정견(黃庭堅)이 우군첩(右軍帖) 후미에 쓴 글에는 “조여ㆍ지 무리가 글씨는 왕희지(王羲之)와 동등했지만 전하기에는 부족하다. 편지 한 장의 글씨라도 수백 세를 전할 수 있는 것은 다만 그 사람의 인품에 달려있는 것이다.” 하였다. 기설【夔契】두 사람은 모두 순 임금의 어진 신하로, 기는 농사일을 관장하는 후직(后稷)이 되었고, 설은 교육을 관장하는 사도(司徒)를 맡았다. 《書經 舜典》 기설【夔卨】순(舜)임금을 섬긴 두 명신(名臣)의 이름이다. 기성【箕城】기성은 평양(平壤)의 별칭이다. 기성【騎省】병조(兵曹)의 별칭이다. 기성【箕城】평해(平海)의 옛 이름. 기소【綺疏】비단의 무늬를 조각한 문이나 창이다. 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자기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도 시키지 말아라. 기소여【其所如】그 간곳. 여(如)는 지(之).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