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반초【班超】반초(班超)는 후한 때의 명장으로 일찍이 서역(西域)에 정벌을 나가 장군장사(將軍長史)ㆍ서역도호(西域都護) 등의 관직에 30여 년 동안 재직하면서 서역의 50여 나라들을 위무 안집(慰撫安集)하여 모두 한 나라에 귀순하도록 하였다. 봉호는 정원후(定遠侯)이다.

반초【班超】반초는 한(漢)나라 부풍(扶風) 안릉(安陵) 사람으로 자는 중승(仲升)인데, 명제(明帝) 영평(永平) 16년(73)에 36인을 거느리고 서역에 사자로 나가 31년 동안 그곳에 있으면서 50여 개의 군소 나라를 안정시켰는데, 그 공으로 벼슬이 서역도호(西域都護)에 이르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졌다. 《後漢書 卷四十七 班超傳》

반초은【反招隱】보통의 은자(隱者)와는 달리 저잣거리에 묻혀 사는 것을 말한다. 진(晉) 나라 왕강거(王康琚)의 시 ‘반초은(反招隱)’에 “숲 속에 사는 이는 작은 은자요, 저잣거리에 사는 이가 바로 큰 은자로세.[小隱隱陵藪 大隱隱朝市]”라는 말이 나온다.《文選 卷22》

반초투필【班超投筆】한나라의 반초(班超)가 관리 노릇을 하면서 글씨를 쓰다가 붓을 던지며, “대장부가 마땅히 만 리 밖에 나가서 공(功)을 세울 것이지 어찌 이런 것이나 쓰고 앉았으랴.” 하고 서역(西域)에 가서 공을 세웠다.

반추하처망륙랑【班騅何處望陸郞】고악부(古樂府) 신현가(神弦歌) 명하동곡(明下童曲)에 “육랑은 얼룩말을 타고 …… 문을 바라보고도 돌아오지 않는다[陸郞乘斑騅 …… 望門不欲歸].” 한 데서 온 말인데, 혹자는 여기의 육랑을 진 후주(陳后主)의 압객(狎客)인 육유(陸瑜)였다고 하나, 자세하지 않다.

반춘【班春】지방관(地方官)이 백성들에게 춘령(春令)을 반포하는 일을 가리킨다.

반측【反側】일정하지 않다.

반통【飯筒】반통은 찐 찹쌀을 넣은 대나무통임. 초(楚) 나라 사람들이 굴원을 애도하는 뜻에서 5월 5일에 이것을 멱라연에 던져 그를 제사지냈다 함. 《續齊諧記》

반통인【半通印】한대(漢代)의 제도에서 승상(丞相)으로부터 영승(令丞)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정방형(正方形)의 인(印)을 사용하고, 색부(嗇夫) 등 말직들은 그것의 반분(半分)인 장방형(長方形)의 인을 사용했던 데서 온 말이다.

반포【反哺】까마귀 새끼는 자란 뒤에, 어미 까마귀에게서 얻어먹은 만큼의 먹이를 다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물어다 먹인다 하여, 까마귀의 별칭을 반포조(反哺鳥) 또는 효조(孝鳥)라 한 데서 온 말이다. 본초(本草) 자오부(慈烏部)에 “까마귀가 처음 나면 60일 동안은 어미가 먹이를 물어다 먹이고, 자라나면 새끼가 어미에게 먹이를 60일 동안 물어다 먹인다.” 하였다.

반포금【反哺禽】새끼가 자란 뒤에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주는 까마귀를 가리킨다.

반포조【反哺鳥】까마귀

반포지효【反哺之孝】도리어 먹이는 효도.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속설에서 온 말.

반포타방유【潘圃詫芳荽】진(晉) 나라 때 문장가 반악(潘岳)의 한거부(閑居賦)에 “좋은 곳에 거소(居所) 잡아 집을 짓고 못을 만들면……호유(胡荽)가 향내를 풍기리라.” 하였다. 《晉書 卷五十五 潘岳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