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방저【方諸】달[月]에서 물을 받아내는 그릇인데, 달밤에 구리 소반[銅盤]에다 받쳐서 받는다고 한다. 받아진 물은 방저수(方諸水), 또는 명수(明水)라고 하는데, 가장 맑고 깨끗하여 제사지내는 데 쓰였다고 한다. 방저원개【方底圓蓋】네모 진 밑바닥에 둥근 뚜껑. 사물이 서로 맞지 아니함. 방적【放迹】남긴 자취. 방주십분상수록【芳酒十分湘水綠】아주 좋은 술을 지칭하는 말이다. 중국 상천(湘川) 영릉현(酃陵縣)의 물이 술 빚는데 좋기로 유명하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謝惠連 雪賦注》 방진【方鎭】관찰사나 절도사(節度使)가 있는 진영(鎭營)을 가리킨다. 방진【芳塵】유명한 인물의 자취를 뜻하는 말로, 사당이나 서원을 가리킨다. 방초지당【芳草池塘】이는 진(晉) 나라 시인 사영운(謝靈運)이 족제(族弟) 혜련(惠連)을 만나면 문득 아름다운 글귀가 나왔다. 하루는 꿈에 혜련을 보고 “池塘生春草" 라는 글귀를 지었는데 이 글귀가 사영운 시 전집 중 제일의 가구(佳句)라 일컬었음. 그래서 뒷사람이 형제 사이를 “池塘春草" 라는 말로 흔히 쓰고 있음. 방초청천【芳草晴川】당 나라 최호(崔灝)의 황학루시(黃鶴樓詩)에 “晴川歷歷漢陽樹 芳草萋萋鸚鵡洲" 라 하였음. 방촉【芳躅】전현(前賢)들의 훌륭한 행적을 말한다. 방촌【方寸】마음[心]을 이름. 삼국지(三國志) 제갈량전(諸葛亮傳)에는, “徐庶辭先主而指其心曰 本欲與將軍共圖王覇之業者 以此方寸之地也 今己失老母 方寸亂矣”라 했고, 중용(中庸) 장구서(章句序)에는, “二者於方寸之間”이라 했음. 방촌【方寸】마음을 가리킨 것으로, 심장(心臟)은 크기가 사방 한 치[寸]이며 마음이 심장 속에 있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방촌비【方寸匕】사방 한 치[一寸]쯤 되는 약숟가락을 말한다. 방촌이란【方寸已亂】마음이 이미 혼란스러워졌다는 말로, 마음이 흔들린 상태에서는 어떠한 일도 계속할 수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 방추【防秋】오랑캐를 방어하는 것을 말한다. 오랑캐는 늦가을 무렵에 세력이 강성해져 쳐들어오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 《舊唐書 陸贄傳》 방취【芳臭】방취는 향내와 악취로서 전하여 군자의 훌륭한 명성과 소인의 더러운 이름을 뜻한 것이다. 방편【方便】권도(權道)로 통달하게 하는 지혜. 보살이 여러 가지 수단 방법을 써서 중생을 진실한 대도로 이끌어 들이는 권지(權智). 방포【方袍】비구니(比丘尼)가 입는 가사(袈裟). 그 모양이 방형(方形)으로 되었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