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보춘휘【報春暉】맹교(孟郊)의 시에, “한 치 길이 풀잎의 마음으로, 봄날의 포근한 햇살에 보답하기 어려워라.[難將寸草心 報得三春暉]” 했는데, 부모의 사랑에 비하여 자식의 정성이 너무 보잘것없다는 말.

보취【步驟】진보(進步)가 빠름.

보타권【寶唾卷】타인의 시집(詩集)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장자(莊子) 추수(秋水)에 나오는 “欬唾成珠”의 설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보필【輔弼】충신의 보좌.

보허곡【步虛曲】악부잡곡가사(樂府雜曲歌辭)의 이름. 중선(衆仙)의 표묘 경거(縹緲輕擧)의 미(美)를 읊은 것으로, 도관(道觀)에서 창(唱)한다.

보허술【步虛術】도사(道士)가 공중을 걸어다니는 술법으로, 즉 신선술(神仙術) 일반을 가리킨다.

보현【普賢】문수보살과 함께 석가여래의 협사(脇士)로 유명하며, 중생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진 보살. 보현보살.

보후【甫侯】보후는 보국(甫國)의 후(侯)임. 시경(詩經) 大雅 崧高에 “거대한 사악의 명산 하늘 높이 우뚝한데 그 산들이 신령 내려 보후(甫侯) 신백(申伯) 탄생했네[崧高維嶽 駿極于天 維嶽降神 生甫及申]" 하였음. 숭(崧)은 총(蔥)과 상통함.

복【復】일체의 무역과 세금을 면제하는 것이다.

복거부【卜居賦】굴원(屈原)이 지은 이소경(離騷經)에 들어 있는 시편(詩篇)이다.

복거지계【覆車之戒】먼저 간 수레가 엎어졌음을 보고 경계함. 앞사람의 실패를 뒷사람이 교훈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복고여산【腹高如山】배가 산같이 높다는 뜻으로 임심한 여자의 부른 배를 형용하거나 혹은 돈 많은 부자의 교만스러움을 형용하기도 한다.

복곡【伏鵠】복곡은 장자(莊子) 경상초(庚桑楚)의 “월 나라 닭은 홍곡(鴻鵠)의 알을 품을 수 없는 법이다.[越鷄不能伏鵠卵]”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후 복곡란(伏鵠卵)이 닭의 별칭으로 쓰이게 되었다.

복과재생【福過災生】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긴다는 말.

복관【服官】벼슬하여 정사를 행한다는 뜻. 예기(禮記) 내칙(內則)에 “50에 대부에 임명되어 정사를 행한다.” 하였다.

복구【覆甌】복구는 금구복명(金甌覆名)의 준말로, 당 현종(唐玄宗)이 재상을 선정하여 그의 이름을 써서 금사발로 덮어 가려놓고 신하에게 알아맞추게 했던 데서 온 말이다.

복금와리【宓琴臥理】공자의 제자 복자천(宓子賤)이 선보(單父) 고을의 수령이 되었을 적에 마루 아래로 내려오는 일이 없이 거문고만 연주했는데도 잘 다스려지며 교화가 이루어졌다는 고사가 전한다. 《呂氏春秋 察賢》

복납【伏臘】여름철의 삼복(三伏)과 겨울철의 납일(臘日)에 지내는 제사 이름인데, 보통 이날 술을 마시기 때문에 다정한 술자리를 말할 때 시어(詩語)로 많이 쓰인다.

복노【伏弩】복노는 매복(埋伏)된 쇠뇌를 이르는데, 자획(字畫)이 힘차서 기세가 충천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