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복도【複道】아래와 위 이중으로 나 있는 길이다. 복랍【伏臘】복랍(伏臘)은 여름의 복(伏)과 섣달의 납향(臘享)을 말함인데 복은 한여름이요, 납은 깊은 겨울이므로 여름 제사[夏祭] 겨울 제사[臘祭]를 말하는 것으로 통용된다. 삼복(三伏)과 납일(臘日). 복래경자【鵩來庚子】문인(文人)이 불행한 일을 당하였다는 뜻이다. 복조는 올빼미를 말한다. 한(漢) 나라 때 가의(賈誼)가 장사왕(長沙王)의 스승이 된 지 3년이 되던 해 4월 경자일에 올빼미가 날아와서 가의의 곁에 앉았는데, 올빼미는 불길한 조짐의 새였다. 이에 가의는 자신이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여겨 슬퍼하면서 복조부(鵩鳥賦)를 지었다. 《史記 卷84 賈生列傳》 복래일【鵩來日】한 나라의 가의(賈誼)가 장사왕(長沙王)의 스승이 된 지 3년 만에 올빼미가 날아와서 가의의 곁에 앉았는데, 올빼미는 불길한 조짐의 새였으므로 가의는 자신이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고 여겨, 슬퍼하면서 복조부(鵩鳥賦)를 지었다. 《史記 卷84 屈原賈生列傳》 복력【伏櫪】말이 마판에 엎드려 있다는 말로 사람이 숨어 있는 것을 비유한다. 환온시(桓溫詩)에 “늙은 기마가 마판에 엎드렸어도 뜻은 천리 길에 있다.[老驥伏櫪志在千里]" 했다. 복력기【伏櫪驥】천리마가 늙어서 마구간에 매여 있다는 뜻으로, 나이는 늙었으나 장한 뜻을 품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복력사천리【伏櫪思千里】좋은 말은 하루 천 리를 달린다고 하는데, 이미 늙어서 마굿간에 엎드려 있어도 마음만은 천리 가는 데에 있다고 한다. 복렵지재【卜獵之載】사냥하여 잡은 짐승을 싣고 돌아옴.’복렵’은 사냥하기 전에 점을 친다는 뜻으로, 사기(史記)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에 “문왕(文王)이 장차 사냥을 떠나려 하여 점을 치니 ‘곰도 아니요, 용도 아니며……패왕(霸王)을 보좌할 인재를 얻을 것이다.’ 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문자이다. 복령【茯苓】땅속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균류(菌類)의 하나로 한약재로 쓰인다. 사기(史記) ‘귀책열전(龜策列傳)’에 “천 년 묵은 복령을 복용하면 죽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복례위인유극기【復禮爲仁由克己】안연(顔淵)이 인(仁)에 대해서 묻자,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사욕을 이기고 예를 회복하는 것이 인이다.[克己復禮爲仁] 하루라도 사욕을 이기고 예로 회복하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갈 것이다. 인을 하는 것은 자신에 달린 것이지 남에게 달린 것이겠는가.”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顔淵》 복로【服老】고봉의 숙부(叔父)인 복재(服齋) 기준(奇遵)을 말함. 조광조의 문인으로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하였음. 복로【茯老】조선 영조ㆍ정조 때의 문신인 이기양(李基讓)의 호가 복암(茯菴)이므로 그를 높이어 이른 말이다. 복리진편【腹裡陳編】가슴속에 품고 있는 학문을 말한다. 한 나라 때 변소(邊韶)가 뱃속에다가 오경(五經)을 모두 품고 있었다고 한다. 복백【復魄】사람이 죽었을 때, 높은 데에 올라가 포백(布帛)을 가지고 죽은 이의 넋을 부르는, 초혼(招魂)의 의식을 이른 말이다. 복번운우【覆翻雲雨】반복 무상한 인정 세태를 말한다. 두보(杜甫)의 빈교행(貧交行)에 “손 뒤집어 구름이요 다시 뒤쳐 비로세.[翻手作雲覆手雨]”라는 구절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