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동교【東橋】중국 장안성(長安城)에 있는 파교(灞橋)의 이칭으로, 동쪽에 있다고 해서 이렇게 부른다. 동교【東郊】한(漢) 나라 소광(疏廣)이 벼슬을 그만두고 시골로 내려갈 때 동대문 밖에서 송별을 하였는데, 그때 전송을 나온 수레가 수백 대나 되었다는 고사가 전한다.《漢書 疏廣傳》 동교별업【東郊別業】별장 전원의 뜻과 같다. 동교요【董嬌饒】전등여화(剪燈餘話)에 나오는 미인(美人)의 이름이다. 동군【桐君】동군은 황제(黃帝) 때 사람인데 일찍이 약을 캐며 도(道)를 구하여 동려현(桐廬縣)의 동산에서 살았다. 초목(草木)과 금석(金石)의 성미(性味)를 잘 알아 삼품(三品)의 약물(藥物)을 정하여 약성(藥性) 4권과 채약록(採藥錄)을 저술하였음. 동군【東郡】동쪽의 고을을 가리킨다. 동군【東君】봄의 별칭. 봄의 신(神). 봄이 오행(五行)상으로 동방(東方)과 목(木)과 청색(靑色)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동제(東帝), 청제(靑帝), 청황(靑皇), 태호(太皥)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동군미옥절【東君弭玉節】동군은 봄을 맡은 동쪽의 신(神)을 말하고, 옥 부절[玉節]은 곧 봄 소식을 의미한다. 동궁【彤弓】동궁(彤弓)은 붉은 활인데, 주(周) 나라 때에 제후(諸侯)가 전공(戰功)이 있으면, 천자(天子)가 동궁을 주는 것이다. 주 평왕(周平王)이 진 문후(晉文侯)를 방백(方伯)에 임명하면서 동궁과 노시를 하사한 데서 온 말이다. 《書經 文侯之命》 동궁【東宮】사시(四時)에 봄은 동쪽에 해당하는데, 주역(周易)의 진괘(震卦)는 장남괘(長男卦)로서 방위로는 동쪽이므로 동궁이라 한 것이다. 동궁훈업【彤弓勳業】동궁은 붉은 칠을 한 활인데 옛날 제후(諸侯)가 공을 세우면 천자가 이것을 하사했으므로 공훈의 대명사로 쓰이게 되었다. 동궤【同軌】좌전(左傳) 은공(隱公) 원년에 “천자가 죽은 지 일곱 달이 되어 장례를 행하게 됨에, 동궤가 모두 이르렀다.[天子七月而葬 同軌畢至]”하였는데, 동궤(同軌)는 왕자(王者)가 일어나 천하를 통일함에 온 세계가 수레바퀴를 같이하고[車同軌] 글 쓰는 문자를 같이하게 되었다는[書同文] 중용(中庸)의 말에서 나온 것으로, 제후들을 가리킨다. 동귀【東歸】고향 산천을 찾아가는 날이라는 말이다. 옛날 한(漢), 당(唐) 시대에 모두 장안(長安)이 수도였던 관계로 중원과 강남 인사들이 고향을 찾아갈 때 흔히 동쪽으로 돌아간다고 하였기 때문에 이후 동귀(東歸)를 귀향의 시어(詩語)로 쓰게 되었다. 동귀석화광【同歸石火光】부싯돌 불빛이 번쩍 일어났다 사라지는 것처럼 짧은 인생을 홀연히 마감했다는 말이다. 동귀초수【同歸楚水】진(晉) 나라 뇌환(雷煥)이 용천(龍泉)과 태아(太阿)의 두 명검을 얻어 하나는 자기가 차고 하나는 장화(張華)에게 주었는데, 그 뒤에 장화가 복주(伏誅)되면서 그 칼도 없어지고 뇌환의 칼은 아들이 차고 다니다가, 복건성(福建省) 연평진(延平津)에 이르렀을 때 차고 있던 칼이 갑자기 물속으로 뛰어들면서, 없어졌던 장화의 칼과 합하여 두 마리의 용으로 변한 뒤 사라졌다는 고사가 전한다. 《晉書 張華傳》 동근연지【同根連枝】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 즉, 형제자매(兄弟姉妹)를 일컫는 말이다. 동기【童欺】두보의 모옥위풍우소파가(茅屋爲風雨所破歌)에 “南村群童欺我老無力" 이란 어구가 있음. 이 연(聯)은 자기의 신세를 두보에게 비하여 쓴 말임. 동기상구【同氣相求】기풍과 뜻을 같이하는 사람은 서로 동류를 찾아 모인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