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도굴계맹【道屈季孟】계씨와 맹씨는 노(魯) 나라를 집권한 두 대부(大夫)인데, 제경공(齊景公)이 공자를 대접하며 말하기를, “계씨와 같이는 못하겠지만 계씨와 맹씨의 중간으로서 대접하리라.” 하였다《論語 微子》. 계씨는 상경(上卿), 맹씨는 하경(下卿)이니, 두 벼슬의 중간으로 대우하겠다는 뜻인데, 공자는 그들에게 용납되지 못하여 본국을 떠났다. 도궁【途窮】진(晉) 나라 완적(阮籍)이 나가서 노닐다가 길이 막힌 곳에 이르면 통곡하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晉書 阮籍傳》 도궁곡【途窮哭】완적(阮籍)의 고사. 완적은 가끔 느닷없이 길을 떠나 마음내키는 대로 갔다가 길이 더 이상 갈 수 없게 되면 곧 통곡을 하고 되돌아왔다고 함. 《晉書 阮籍傳》 도궁완자곡【途窮阮子哭】완자는 진(晉) 나라 때의 완적(阮籍)을 말함. 이 말은 완적이 수레를 타고 놀러 나갔다가 수레가 통과하지 못하는 곳에 이르러 통곡하고 돌아온 고사에서 온 말인데, 전하여 곤궁함을 슬퍼하는 뜻으로 쓰인다. 《晉書 阮籍傳》 도궁제읍지삼숙【道窮齊邑遲三宿】맹자가 제(齊) 나라를 떠나면서 3일 동안이나 제 나라 동남쪽에 있는 주(晝)라는 고을에서 묵고 간 일을 말한다. 맹자(孟子) 공손추 하(公孫丑下)에 “3일 동안을 묵고 주 고을을 나왔다.[三宿而出晝]" 하였다. 도규【刀圭】약(藥)을 뜨는 숟가락. 약물(藥物)이나 의술(醫術). 늙지 않게 하는 선약(仙藥)을 말한다. 도균【陶鈞】도(陶)는 질그릇 만드는 사람, 균(鈞)은 질그릇 만드는 데 쓰는 굴림틀[轉器]. “성왕이 세상과 풍속을 제어함은 질그릇 만드는 사람이 굴림틀을 굴림과 같다.”는 말이 있다. 질그릇을 만들 때 쓰는 선반(旋盤). 녹로(轆轤). 곧 왕자(王者)가 천하를 경영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는 문자다. 사기(史記) 추양전(鄒陽傳)에 “도균(陶鈞)으로 천하를 교화한다.” 하였다. 도금무보【陶琴無譜】도연명은 무현금(無絃琴)을 연주했다고 한다. 도기【道氣】도기는 도(道)의 기운으로 세속을 초탈한 청정한 경지를 말한다. 도기수【盜其嫂】사기(史記) 진평세가(陳平世家)에 “平雖美丈夫如冠玉矣……平居家時 盜其嫂" 라 하였음. 도기희서진탕탕【道寄姬書陳蕩蕩】희(姬)는 주(周) 나라 성이므로 희서(姬書)는 주서(周書)를 말하는데, 즉 서경(書經) 홍범(洪範)을 가리킨다. 홍범은 기자가 주 무왕(周武王)에게 천하를 다스리는 도를 말한 홍범구주(洪範九疇)를 가리킨다. 이 글에 “편당(偏黨)이 없으면 왕도(王道)가 탕탕(蕩蕩)해진다.” 하였는데, 탕탕은 집전(集傳)에 광원(廣遠)의 뜻으로 해석하였다. 도남【圖南】송(宋) 나라 진박(陳搏)의 자. 그가 화산(華山)에서 수도생활을 하면서 곡식도 먹지 않고 한 번 누우면 1백여 일씩이나 일어나지 않고 잤다고 함. 《宋史 卷457》 도남【圖南】송(宋)의 진단(陳摶). 도남(圖南)은 그의 자(字)임. 도남【圖南】어느 다른 지역으로 가서 큰 사업을 시작하다란 뜻의 고사성어. 도남붕익능창해【圖南鵬翼凌蒼海】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붕새가 북쪽에서 단숨에 남쪽으로 날아가려는 웅지를 품고 있다.” 하였다. 도년【徒年】도형(徒刑)을 이른다. 도형의 형기(刑期)에는 1년, 1년 반, 2년, 2년 반, 3년의 5등급이 있다. 그 형기의 단위가 연(年)이므로 도년(徒年)이라 하는 것인데, 이것은 말을 마필(馬匹), 쌀을 미석(米石), 얼음을 빙정(氷丁), 매를 응련(鷹連)이라 하는 것과 같은 예이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