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단리【短李】당 나라 이신(李紳)의 별칭. 그는 체구가 아주 왜소했기 때문에 ‘단리’라는 별칭이 있었다. 이신은 처음에 재질과 절조로써 진용되었다가 뒤에 소인들의 모함으로 거의 화란을 당할 뻔했으나 다시 정인(正人)들의 극력 구호로 풀려나 길이 공명을 누렸다. 당서(唐書) 이신전(李紳傳)에 “신체는 아주 작게 생겼으나 성격이 호방하고 시(詩)에 이름이 있어 당시 사람들이 단리라 일컬었다.” 하였다.

단말마【斷末魔】불교용어. 임종(臨終) 때를 이르는 말. 숨이 끊어질 때의 고통. 숨이 끊어질 때 내뱉는 짧은 비명.

단면【端冕】단면은 임금이 정식으로 조회를 받을 때 입는 예복과 관이다.

단면【袒免】단문은 오복(五服) 이외의 먼 친척이 죽었을 때 두루마기의 오른쪽 소매를 벗고 머리에 사각건(四角巾)을 쓰기만 하는 상례를 말한다.

단명고사【端明故事】소동파가 ‘적벽부’를 지은 것을 말한다. 동파가 일찍이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냈기 때문에 소 학사(蘇學士)라고 불려지기도 하였다.

단목【端木】단목(端木)은 자공(子貢)의 성이다. 자공이 말하기를, “부자(夫子)의 문장을 얻어들을 수 있다.” 하였다. 단목 사(端木賜)

단목천종양【端木千鍾養】단목은 복성(複姓)인데,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을 가리킨다. 장사 수완이 뛰어나 수천금의 재산을 모았다 한다.

단문【端門】단문은 궁전의 남쪽으로 트인 정문을 말한다.

단미계【斷尾鷄】빈맹(賓孟)이 교외에 나갔다가 제 꼬리를 제가 물어뜯어버리는 장닭을 보고서는 그 까닭을 시자(侍者)에게 물었더니 그 시자는, 제대로 된 고운 깃털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장차 종묘(宗廟) 제사에 희생(犧牲)으로 쓰여질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면키 위하여 그러는 것이라고 하였음. 《左氏傳 昭公 二十二年》

단박【檀拍】단판(檀板)과 같은 뜻으로, 즉 박자(拍子)를 때리는 일종의 악기(樂器)이다.

단방【丹房】도가에서 단약(丹藥)을 굽는 장소를 말한다.

단배성【袒背誠】북송(北宋) 때 진회(秦檜)가 충신 악비(岳飛)를 참소하여 옥(獄)에 가두고, 하주(何鑄)를 시켜 악비를 국문(鞠問)할 적에 악비가 웃통을 벗고 등을 하주에게 보였는데, 악비의 등에 진충보국(盡忠報國) 네 글자가 새겨져 있었던 데서 온 말이다.

단변【端弁】머리에 쓰는 것을 바르게 함

단보탄【單父彈】공자 제자 복자천(宓子賤)이 선보 원이 되어 거문고만 타고 당에 내려오지 않았어도 고을이 잘 다스려졌다 한다. 《逸論語 知道》

단부【單趺】단부는 불교(佛敎)에서 앉는 법의 한 가지로, 오른발을 왼편 허벅다리에 얹고 왼발을 오른편 무릎 밑에 넣고 앉는 반가부좌(半跏趺坐)를 말한다.

단부【丹府】정액(精液)이 고이는 단전(丹田)을 말한다.

단부사【單府使】판관(判官)이 없는 도호부(都護府)의 부사(府使)

단비【短臂】이목(李牧)은 춘추 시대 조(趙) 나라 북변(北邊)의 명장인데, 몸은 장대하였으나 팔이 짧았다 함.

단비【斷臂】후위(後魏) 때 고승으로 중국 선종의 제2조가 된 혜가(惠可)가 달마에게 도를 받을 때 그의 왼팔을 잘라서 자기의 굳은 뜻을 보였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