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동산【東山】동산(東山)은 시경(詩經) 빈풍의 편명이다. 일찍이 주 무왕(周武王)이 주(紂)를 멸하고 그의 아들 무경(武庚)을 대신 세운 다음, 자기 아우인 관숙(管叔)ㆍ채숙(蔡叔)을 은(殷)에 보내서 무경을 감시하게 하였는데, 무왕이 돌아가고 이린 성왕(成王)이 즉위함에 미쳐서는 관숙ㆍ채숙이 무경에게 붙어 “주공(周公)이 장차 유자(孺子 성왕)에게 불리할 것이다.”라는 유언비어를 퍼뜨리자, 성왕이 그 말을 듣고 숙부인 주공을 의심하기에 이르렀다. 그러자 주공이 동쪽으로 정벌하여 무경과 관숙ㆍ채숙을 모두 토멸하였는데, 이 동산시는 바로 주공이 무경 등을 토멸하고 3년 만에 돌아와서 병사들을 위로한 노래이다. 동산【東山】동산은 중국 절강(浙江) 상우현(上虞縣)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이다. 진(晉)나라 사안(謝安)이 처음에 좌저작랑(佐著作郞)을 지내다가 병이 들어 그만두고 그곳에 은거하여 조정에서 여러 번 불러도 나가지 않자, 당시 사람들이 말하기를 “안석(安石)이 나오려 하지 않으니 장차 이 창생을 어찌할꼬.” 하였는데, 40세에 다시 나가서 환온(桓溫)의 사마(司馬)가 된 뒤에 사도(司徒)까지 지냈다.《晉書 卷七十九 謝安傳》 고와동산(高臥東山) 동산【銅山】철산(鐵山)의 옛 이름이다. 동산각소노【東山覺小魯】공자가 노(魯) 나라의 동산(東山)에 올라서는 노나라를 작게 여기고, 태산(泰山)에 올라서는 천하를 작게 여겼다는 데서 온 말이다. 《孟子 盡心 上》 동산고와【東山高臥】동산에 은거하며 자유로운 생활을 함. ☞ 고와동산(高臥東山) 동산기【東山妓】진(晉)의 사안(謝安)이 동산(東山)에서 놀면서 기생을 늘 대동하였다고 함. 《晉書 謝安傳》 동산부【銅山富】돈이 풍부한 것을 말한다. 한 문제(漢文帝)가 일찍이 촉(蜀)의 엄도동산(嚴道銅山)을 영신(佞臣) 등통(鄧通)에게 주어서 임의로 주전(鑄錢)하게 하였다. 동산화옥【東山華屋】동산은 진(晉) 나라 사안(謝安)이 은거(隱居)하던 곳이다. 사안(謝安)이 죽은 뒤에 존경하던 양담(羊曇)이 그 집을 지나다가 조자건(曹子建)의 시에 “살아서는 좋은 집[華屋]에 거처하더니 죽어서는 산으로 돌아간다" 라는 글귀를 읊고 통곡한 고사가 있다. 동상【東床】극감(郄鑒)이 문생(門生)으로 하여금 왕도(王導)의 문하(門下)에서 사윗감을 간택하게 하였더니 왕씨 문중(王氏門中)의 여러 소년들이 이 말을 듣고 모두 자신(自身)을 칭양하였으나, 왕희지(王羲之)만은 배를 드러내고 동상(東床)에 누워 모른 체하자 그를 사위로 삼았다. 《晉書 卷八十 王羲之傳》 동상【董相】동상(董相)은 한 나라 무제(武帝) 때 강도상(江都相)을 지낸 동중서(董仲舒)를 가리킨다. 동상이몽【同床異夢】같은 잠자리에서 서로 다른 꿈을 꿈. 겉으로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서로 딴 생각을 품음 또는 같은 처지와 입장에서 저마다 딴 생각을 함. 동생【董生】동생은 한(漢)나라 광천(廣川)사람인 동중서(董仲舒)를 말한다. 동생심장려【董生深長慮】동생(董生)은 한(漢)의 유학자 동중서(董仲舒). 동중서가 재이지기(災異之記)를 써서 사람의 잘못이 결국 천재지변을 부른다는 경고의 뜻을 담았는데, 그 속에 풍자가 들어 있다 하여 천자(天子)로부터 죄를 받고 그후로는 끝내 재이에 대한 말을 하지 않았다고 함. 《史記 儒林列傳》 동생유견【董生乳犬】동생은 당(唐) 나라 때의 은사(隱士)인 동소(董召)를 이름. 동소의 집이 매우 가난하였으므로, 개도 새끼를 먹일 것이 없어 어미가 먹이를 구하러 나간 사이에 닭이 와서 벌레를 쪼아가지고 개 새끼를 먹이려 하였으나, 개 새끼는 먹지 않고 슬피 울기만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韓昌黎集 董生行》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