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단사【丹砂】단사는 연단(鍊丹)을 해서 단약(丹藥)을 만들어 내는 광물의 이름이다. 옛날 도사(道士)들은 단사를 원료로 하여 불로장생의 비약(祕藥)을 구워냈는데 이를 연단술(鍊丹術)ㆍ연금술(鍊金術)ㆍ점금지술(點金之術)이라고도 한다. 여러 가지 쇠붙이를 금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하였다. 본초(本草)에 의하면, “단사를 오래 먹은 자는 신명(神明)을 통하고 늙지 않으며 몸이 가벼워져 신선이 된다.” 하였음. 단사【摶沙】모래를 뭉침. 모래는 서로 뭉쳐지지 않는 것이므로, 전하여 친구 간에 서로 헤어져 있음을 뜻한 것이다. 단사【丹砂】주사(朱砂). 수은과 유황의 화합물. 단사【斷蛇】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술에 취해 길을 가다가 큰 뱀을 죽인 뒤[斷蛇] 깃발의 색깔을 붉게 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漢書 高帝紀贊》 단사구루【丹砂句漏】세상을 피해 살며 양생(養生)하는 것을 말한다. 진(晉) 나라 갈홍(葛洪)이 혼란한 세상을 피해 남쪽으로 내려가려 하다가, 교지(交趾)에서 단사(丹砂)가 나온다는 말을 듣고 구루 영(句漏令)으로 자원했던 고사가 있다. 《晉書 葛洪傳》 단사군【丹砂郡】진(晉) 나라 갈홍(葛洪)이 교지(交趾)에서 단사가 난다는 말을 듣고 벼슬을 구하여 구루 영(句漏令)이 된 고사를 인용한 것임. 단사두갱【簞食豆羹】단(簞)은 밥을 담는 그릇. 두(豆)는 국을 담는 완(椀) 같은 것으로 음식의 분량이 적은 것을 말한다. 하찮은 음식. 소쿠리의 밥과 나무 제기의 국. 단사법【丹砂法】불로장생하는 금단(金丹)의 제조법을 말한다. 단사출촉정【丹砂出蜀井】단사는 선가(仙家)의 불사약(不死藥)으로 주사(朱砂)를 말하며 촉정은 중국 촉(蜀) 지방에 있는 화정(火井)을 말한다. 여기에 불을 붙이면 우레와 같은 소리가 나며 10리까지 불빛이 비치는데, 여기에서 새빨간 단사가 나온다. 《蜀都賦 注》 단사표음【簞食瓢飮】일단사일표음(一簞食一瓢飮)의 준말.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 소박하고 청빈하게 사는 가난한 살림. 단산【丹山】단산은 봉황이 나온다는 산 이름으로 보통 단혈(丹穴)이라고 한다. 단서【丹書】도가(道家)의 서적. 단서장석실【丹書藏石室】단서는 단사(丹砂)로 만든 채료(彩料)로 붉게 쓴 서문(誓文). 곧 이를 공신(功臣)에게 하사하여, 영원토록 그의 자손에게 죄를 면해줄 것을 증명하는 것인데, 한서(漢書) 고제기(高帝紀)에 “공신과 함께 부신(符信)을 나누어 서문(誓文)을 만들어서 단서철계(丹書鐵契)를 금궤(金匱)와 석실(石室)에 담아 종묘에 수장하였다.” 한 데서 온 말이다. 단서차화곤【丹書借華袞】유배를 가게 된 것도 임금의 은총이라는 뜻이다. 단서(丹書)는 임금이 공신(功臣)에게 세습적으로 면죄(免罪)케 하는 등 특권을 부여한 증서를 말하고, 화곤(華袞)은 제왕을 가리킨다. 단석【袒裼】웃옷을 벗어서 맨몸을 드러내는 것으로, 예의가 없음을 뜻한다. 단선가【團扇歌】진(晉) 나라 때 왕민(王珉)이 형수(兄嫂)의 비(婢)인 사방자(謝芳恣)와 사통하여 서로 매우 사랑하다가, 사실이 탄로되어 사방자가 왕민의 형수에게 매를 몹시 맞았는데, 당시 사방자는 노래를 잘하였고 왕민은 백단선을 좋아하여 항상 손에 가졌으므로, 사방자가 단선가(團扇歌)를 지어 불렀다한다. 단선원서궁【團扇怨西宮】둥근 부채는 반첩여(班婕妤)의 단선(團扇)을 말하며 서궁은 후궁(後宮)임.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