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탄슬【三嘆瑟】조촐하면서도 근엄한 여운(餘韻)이 있는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악기(樂記)에 “청묘(淸廟)의 주악(奏樂)에 쓰는 비파는 붉은 줄을 매고 밑에 구멍을 뚫어 소리가 느리게 나며, 한 사람이 선창하면 겨우 세 사람이 화창할 정도로 아름다운 음악은 아니나 그 속에는 끝없는 여운이 있다.” 하였다. 삼태【三笞】옛날 주공(周公)의 아들 백금(伯禽)이 그의 숙부(叔父)인 강숙(康叔)과 함께 입조(入朝)하였다가 아버지인 주공을 세 차례 뵈었는데 번번이 매를 맞았다. 강숙의 제의로 상자(商子)라는 현인(賢人)을 찾아 그 이유를 물었더니 남산(南山)의 양지쪽과 음지쪽에 있는 두 나무를 보고 오라고 하였다. 그래서 가보니 남산 양지쪽에는 교(橋)라는 나무가 쳐들려 있었고 음지쪽에는 자(梓)라는 나무가 수그러져 있었다. 백금이 다녀와서 본 대로 말하자 상자는 “교는 부도(父道)를, 자는 자도(子道)를 의미한 것이다.” 말하였다. 백금이 그 이튿날 주공을 뵈올 때 정문에 들어서서는 빨리 걷고 당(堂)에 올라서는 무릎을 꿇자 주공이, “어디서 군자를 만났더냐.” 하고 위로해 주었다. 《說苑 建本》 삼택방【三宅邦】자는 원여(元與)이고 일본 가하(加賀) 사람임. 삼통【三通】군대의 북소리를 뜻한다. 삼통(三通)의 통은 북을 칠 때 하나의 단락을 이루는 단위 이름으로, 위공병법(衛公兵法) 부오영진(部伍營陳)에 “일출(日出)과 일몰(日沒) 때에 1천 번씩 북을 울리는데, 3백 33번 치는 것을 1통(通)이라 한다.” 하였다. 삼파【三巴】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일대 지역인 파군(巴郡), 파동(巴東), 파서(巴西)의 지역을 말한다. 즉 파촉(巴蜀) 지방으로 사천분지(四川盆地)를 가리킨다. 삼팔서중종공맹【三八書中宗孔孟】삼팔은 삼황(三皇)의 일을 기록한 삼분(三墳)과 팔괘(八卦)의 이치를 서술한 팔색(八索)으로 삼분ㆍ오전(五典)과 팔색ㆍ구구(九丘)의 모든 서적을 지칭한 것으로 보이며, 공맹(孔孟)은 공자(孔子)와 맹자(孟子)를 가리킨 것이다. 삼팽【三彭】삼시신(三尸神)으로, 병마(病魔)가 찾아드는 것을 말한다. 도가(道家)의 설에 의하면, 사람 몸 속에 빌미를 일으키는 세 신이 있어 이를 삼시신이라고 하는데, 경신일(庚申日)마다 사람의 잘못을 천신에게 아뢰면 천신이 그 사람의 수명을 줄인다고 한다. 삼팽【三彭】세 마리의 벌레를 말하는데 삼시(三尸)라고도 한다. 이 벌레가 인체 내에 숨어 있으면서 그 사람의 잘못을 낱낱이 기억했다가 경신일(庚申日)이 되면 그 사람이 잠든 틈을 타 하늘로 올라가서 상제(上帝)에게 그 사실을 다 일러바치기 때문에 도(道)를 배우는 자는 언제나 경신일이면 잠을 자지 않고 그 벌레가 못 나가도록 하는데, 이를 일러 수경신(守庚申)이라고 하였음. 《避暑錄話》 삼팽참【三彭讒】삼팽은 도가(道家)의 말로 인체 중에 있는 세 시신(尸神)을 말하는데, 상충(上蟲)은 뇌속에, 중충(中蟲)은 명당(明堂 이마)에, 하충(下蟲)은 배에 있다 한다. 유종원(柳宗元)의 매시충문(罵尸蟲文)에 “도사가 말하기를 사람에게 시충 셋이 있는데 뱃속에 있다가 사람이 조금만 잘못한 것을 보면 경신일에 나가 제에게 참소한다.[道士言 人皆有尸蟲三處腹中伺人隱微失誤 日庚申 出讒於帝]" 하였다. 삼표【三表】한(漢) 나라 가의(賈誼)가 올린 흉노(匈奴)에 대한 회유책(懷柔策)으로 삼표오이(三表五餌)의 준말이다. 삼표는 인도(仁道), 상의(常義), 연낙(然諾)이고, 오이는 이(耳), 목(目), 구(口), 복(腹), 심(心)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新書 匈奴》 삼품【三品】삼품에 대해서 주자(朱子)는 제사 음식용, 빈객 대접용, 주방 비축용이라고 해설하였다. 삼풍【三風】삼풍은 십건(十愆)을 묶어 말한 정사를 그르치는 세 가지 풍인데, 곧 무풍(巫風)ㆍ음풍(淫風)ㆍ난풍(亂風)이다. 삼풍십건【三風十愆】무풍(巫風)ㆍ음풍(淫風)ㆍ난풍(亂風)에 해당한 사항으로서 늘 궁중에서 춤을 추거나 실내에서 술에 취해 노래하면 그것이 무풍이고, 재물 또는 여색에 목숨을 걸거나 놀이와 사냥만을 즐기면 그것이 음풍이며,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기고, 충직(忠直)한 이를 거역하고, 덕망 있는 원로를 멀리하고, 완악한 동자를 가까이하면 그것이 난풍이라는 것으로 탕(湯)이 후세 자손을 경계하는 뜻에서 관형(官刑) 제도를 두고 이러한 풍습을 제재하였음. 《書經 伊訓》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