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삼하【三河】낙양(洛陽) 부근의 세 강물을 가리키는 말로, 북방(北方)을 뜻한다.

삼하【三河】삼하는 중국의 하남(河南)ㆍ하동(河東)ㆍ하내(河內)를 말한 것이다.

삼하【三夏】음력 사ㆍ오ㆍ륙 삼개월.

삼하【三河】중국의 하남(河南)ㆍ하동(河東)ㆍ하북(河北)을 가리킨다. 《後漢書 光武紀贊 注》

삼한【三韓】상고 시대에 우리나라 남부에 있었던 마한(馬韓)ㆍ진한(辰韓)ㆍ변한(弁韓)의 합칭이다.

삼한갑족【三韓甲族】우리나라의 옛적부터 문벌이 높은 집안

삼한사온【三寒四溫】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로, 삼일은 춥고, 나흘은 따뜻한 날씨.

삼한외방장【三韓外方丈】두보의 시 ‘봉증태상장경기(奉贈太常張卿▣)’에, “방장산은 삼한 나라 밖이고, 곤륜산은 만국의 서쪽이라네.[方丈三韓外 崑崙萬國西]”하였다.

삼한지외방장산【三韓之外方丈山】삼한(三韓)은 마한(馬韓)ㆍ진한(辰韓)ㆍ변한(弁韓)인데, 두보(杜甫)의 시에 “방장산은 삼한의 밖에 위치하고, 곤륜산은 만국의 서쪽에 솟아 있네.[方丈三韓外 崑崙萬國西]”라는 구절이 있다.《杜少陵時集 卷3 奉贈太常張卿▣ 20韻》

삼함【三含】삼함은 입을 세 겹으로 봉한다는 뜻으로 말조심하는 것을 뜻한다. 공자(孔子)가 주(周) 나라에 가서 후직(后稷)의 사당에 들어가면서 보니, 사당 우측계단에 금인(金人)이 서 있는데 그 금인의 입은 세 겹으로 봉해졌고 그 등에는 “옛날에 말을 삼가던 사람이다.[古之愼言人也]" 고 새겨져 있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孔子家語 觀周》

삼함각【三緘刻】말조심하는 사람. 공자(孔子)가 주(周)의 태묘(太廟)에 갔더니 바른편 뜰 앞에 쇠붙이로 주조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 입을 세 군데를 얽어매고는 그 등에다 조각하기를, “옛날에 말을 조심했던 사람이다.” 하였다고 함. 《孔子家語 觀周》

삼함계금구【三緘戒金口】설원(說苑) 경신(敬愼)에, “공자(孔子)가 주(周)에 갔을 때에 태묘(太廟)에서 보니 오른쪽 계단 곁에 금인(金人)이 있었는데, 그 입을 세 겹으로 봉하였으며, 등에다가는 명(銘)하기를, ‘옛날에 말을 삼간 사람이다.’ 하였다.” 하였다. 후대에는 이를 인해 말을 신중하게 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삼합【三合】천(天)ㆍ지(地)ㆍ인(人) 셋이 합하여 덕(德)을 이룸을 말함.

삼해【三亥】삼해는 해(亥)의 일진(日辰)이 세 번 든 것인데, 그 해에는 장마가 진다는 말이 있음.

삼해주【三亥酒】음력 정월 상해일(上亥日)에 찹쌀가루로 죽을 쑤어 누룩과 밀가루로 반죽한 다음 독에 넣고, 다시 중해일(中亥日)에 찹쌀가루와 멥쌀가루를 쪄서 독에 넣고, 하해일(下亥日)에 또 흰쌀을 쩌서 독에 넣어 빚은 술인데 춘주(春酒)라고도 한다.

삼허【參墟】삼성(參星) 분야를 말하는데 사천(四川) 지방을 가리킨 것이다.

삼헌【三獻】초 여왕(楚厲王) 때 변화(卞和)가 산중에서 옥박(玉璞)을 얻어 이를 받들고 가서 여왕에게 바치자, 여왕이 옥인(玉人)에게 감정(鑑定)을 시킨 결과, 옥박이 아니고 돌이라 하므로, 여왕이 변화가 임금을 속였다 하여 그의 왼쪽 발꿈치를 베었다. 여왕이 죽고 무왕(武王)이 즉위한 다음 변화가 다시 그 옥박을 무왕에게 바치자, 역시 옥인에게 감정을 시킨 결과 또 돌이라 하므로, 무왕이 또 변화가 임금을 속였다 하여 그의 오른쪽 발꿈치를 베었다. 그 후 무왕이 죽고 문왕(文王)이 즉위하자, 변화가 그 옥박을 안고 초산(楚山) 아래에서 3일 낮밤을 울었더니, 문왕이 그 전후 내막을 듣고는 옥인을 시켜 그 옥박을 쪼개어 과연 보배를 얻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韓非子 和氏》

삼헌옥【三獻玉】춘추 시대 초(楚) 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박옥(璞玉)을 얻어 초 여왕(楚厲王)에게 바쳤더니, 여왕은 속인다고 하여 그의 왼쪽 발꿈치를 잘랐다. 그 후 초 무왕(楚武王)이 즉위하여 다시 바치니, 무왕 역시 그의 오른쪽 발꿈치를 잘랐다. 그 후 초 문왕(楚文王)이 즉위하여 그 옥을 갈게 하였더니 보옥(寶玉)이 되었다 한다. 《韓非子 和氏》

삼협【三峽】사천(四川)‧호북(湖北) 두 성(省)의 경계에 있는 양자강(揚子江 長江) 중류의 세 협곡(峽谷). 사천(四川) 봉절(奉節)에서부터 호북(湖北) 의창(宜昌)지역까지의 산악지대를 흐르는 장강 줄기 가운데 가장 험난하기로 이름난 구당협(瞿塘峽)ㆍ무협(巫峽)ㆍ서릉협(西陵峽)을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