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序】가곡(歌曲) 등의 중요한 부분을 시작하기 전에 연주(演奏)하는 곡(曲)을 말한다. 서【庶】아마. 거의 서가조【犀可照】서각은 물소의 뿔인데, 이를 태우면 밝은 빛을 낸다고 한다. 진(晉) 나라의 온교(溫嶠)가 여행을 하다가 무창(武昌)의 저기(渚磯)에 당도하니, 물이 아주 깊은데, 사람들이 모두들 물 속에 괴물이 산다고 하였다. 이에 온교가 서각에 불을 붙여서 물 속을 비추니, 얼마 뒤에 물 속에 있던 기이한 모습의 물고기들이 모두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晉書 卷六十七 溫嶠列傳》 서가지폐【徐家之肺】서씨는 당 나라 때 강직하기로 이름난 서회(徐晦)이고, 심가는 그와 같은 시대의 심전사(沈傳師)인데, 한림학사(翰林學士)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 청직과 여러곳의 지방관을 오랫동안 지냈으나 세상의 영욕에 관심이 없어 권세가에 아부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서회는 술을 즐겨마시고 심전사는 음식을 잘 먹어 당시의 재상인 양사복(楊嗣復)이 말하기를 “서가의 폐장과 심가의 비장은 참으로 편안한가.” 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唐語林》 서간【徐幹】삼국시대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하나로 뛰어난 문장으로 조조(曹操)부자(父子)의 예우를 받았다. 서간【鼠肝】세상 만물 가운데 대단히 미세한 존재.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위대하도다. 조화(造化)여! 너를 장차 무엇으로 만들려나? 너를 쥐의 간[鼠肝]으로 만들 것인가, 너를 벌레의 팔뚝[蟲臂]으로 만들 것인가?”고 했던 데서 온 말로 자연의 변화에 순응해야 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서간충비【鼠肝蟲臂】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너를 쥐의 간으로 만들어 주랴, 너를 벌레의 팔로 만들어 주랴.”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만물의 태어난 형태 가운데 가장 하찮은 것을 비유한 것이다. 서강월【西江月】사곡(詞曲) 이름인데, 남녀의 애정을 노래한 것이다. 서강중【徐剛中】강중은 서거정(徐居正)의 자(字). 서거【犀渠】방패 이름. 좌사(左思)의 오도부(吳都賦)의, “家鶴膝 戶有犀渠”라고 한 그 주에, ‘渠楯也’라 하였음. 서거【犀炬】진(晉) 나라 온교(溫嶠)가 배를 타고 우저기(牛渚磯)를 지날 적에 물속에서 음악 소리가 들려오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무소의 뿔에 불을 붙여 비춰 보자, 말과 수레를 타고 붉은 모자를 쓴 물속의 괴물들이 나타났는데, 그날 밤에 온교가 괴물로부터 “너와 나는 각각 다른 이승과 저승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데, 어째서 우리에게 불을 비췄느냐.”고 꾸지람을 당하는 꿈을 꾸고 나서 얼마 뒤에 죽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晉書 溫嶠傳》 서거유위【西去遊渭】태공이 주를 피해 위수(渭水)에서 낚시질을 하면서 지내다가 문왕을 만나 등용되고, 그 뒤에 다시 무왕을 도와 상나라를 정벌하였다. 이에 백이와 숙제는 무왕에게 정벌하지 말 것을 간하다가 듣지 않자 수양산으로 들어가 굶어 죽었다. 《史記 卷六十一 伯夷列傳》 서검【書劍】글[書]은 문(文)을 배우는 것이요, 검(劍)은 무(武)를 배운다는 것인데, 문무(文武)의 재주를 지녔다는 말이다. 항우(項羽)의 숙부 항량(項梁)이 항우에게 글을 가르치고 칼 쓰는 법은 가르쳤다. 서검【書劍】글을 읽어 관리가 되고 칼을 잡고 종군(從軍)하는 것으로 문관이나 무관이 되는 것을 말함. 맹호연집(孟浩然集) 권3 자락지월(自洛之越) 시에 “삼십 년을 허둥지둥 글과 칼 다 못 이뤘네[遑遑三十年 書劍兩無成]" 하였음. 서검응난적만인【書劍應難敵萬人】항우(項羽)가 젊을 때 글공부도 안하고 검술(劍術)도 전념하지 않으므로 그의 삼촌인 항량(項梁)이 꾸짖으니, 항우가 “글이란 성명(姓名)이나 기록하는 것이고 칼이란 한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니 배울 것이 못됩니다. 나는 만인(萬人)을 상대하는 것을 배우려 합니다.” 한 데서 인용한 말이다. 《史記 卷七 項羽本紀》 서검탁심정【徐劍托深情】춘추 시대 오(吳) 나라 계찰(季札)이 상국(上國)에 사신 가는 길에서 서(徐) 나라에 들렀을 때, 서 나라 임금이 계찰의 보검(賓劍)을 보고 좋아하면서도 차마 말을 못 하였는데, 계찰은 그의 생각을 알기는 했으나 사신을 가는 길이라 보검을 그에게 선사하지 못하고 떠났다가, 돌아오는 길에 다시 서 나라에 들르니, 서 나라 임금은 이미 죽었으므로, 그 보검은 그이 묘소의 나무에 걸아 놓아서 일찍이 그에게 선사하고 싶었던 뜻을 편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吳太伯世家》 서검현【徐劍懸】춘추 시대 오(吳) 나라 계찰(季札)이 사행(使行) 중에 서군(徐君)을 방문하였을 때, 서군이 계찰의 칼을 부러워하면서도 감히 말을 꺼내지 못하자, 계찰이 그 마음을 헤아리고는 사신의 임무를 끝내고 돌아올 때 그에게 칼을 주려고 마음속으로 다짐하였는데, 돌아오고 보니 서군이 이미 죽어서 땅속에 묻혔으므로, 그 칼을 서군의 무덤가 나무 위에 걸어 놓고 떠나간 고사가 전한다. 《史記 吳太伯世家》 서견【噬犬】깨무는 개.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