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인【騷人】본래는 시인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선비, 사대부 등 지조 있는 지식인을 말한다 소인【騷人】소인의 소(騷)는 굴원(屈原)이 지은 이소경(離騷經)에서 나온 말로, 즉 근심에 걸린 것을 뜻하는데, 후대에 내려오면서 그냥 시인을 말할 때 쓰이게 되었다. 소인【小人】지위 낮은 백성을 말한다. 소인【騷人】초(楚) 나라 굴원(屈原)이 임금에게 쫓겨나 상강(湘江) 가에 방랑하면서 이소(離騷)를 지었는데, 소(騷)는 시름이란 뜻이다. 소인유【小人儒】논어(論語) 옹야(雍也)에 보면 공자가 자하(子夏)에게 “너는 군자 선비가 되고 소인 선비가 되지 말라.” 하였음. 소인택반음【騷人澤畔吟】초(楚) 나라 굴원(屈原)이 모함을 받고 조정에서 추방된 뒤에, 초췌한 얼굴 모습으로 택반을 거닐며 읊조렸던[行吟澤畔] 고사가 있다. 《史記 卷84 屈原列傳》 소자【蘇子】동파(東坡) 소식(蘇軾)을 가리킨다. 소자【邵子】소옹(邵雍)을 높여 말한 것임. 소자경【蘇子卿】소자경은 한(漢) 나라의 충신 소무(蘇武)를 이름. 자경은 그의 자. 소자경뢰【蘇子瓊雷】소자는 송(宋) 나라 소식(蘇軾)을 가리키고, 경뢰는 경주(瓊州)와 뇌주(雷州)로, 지금의 해남도(海南島)와 뇌주반도를 가리킨다. 송 나라 신종(神宗) 때 소식이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왕안석의 뜻을 거슬러서 경주로 쫓겨났었는데, 소식의 기자유시(寄子由詩)에, “경뢰가 구름 바다에 막힌 것을 혐의 말라, 성상께선 오히려 멀리 서로 보는 것을 허락했다네.[莫嫌瓊雷隔雲海 聖恩尙許遙相望]”하였다. 소자미【蘇子美】자미는 송 나라 소순흠(蘇舜欽)의 자(字). 당시에 유행하던 변려문에 항거하고 고문시가(古文詩歌)에 발분, 호방(豪放)한 시로서 사람들을 놀라게 했음. 소자와【邵子窩】소자는 송(宋) 나라 때의 학자인 소옹(邵雍)을 이르는데, 그는 자기가 거처하는 집을 안락와라 이름하고 안락 선생(安樂先生)이라 자호하였으며, 특히 청빈(淸貧)하였다. 소자인중선【蘇子人中仙】소자는 송(宋) 나라 소식(蘇軾)을 말하는데, 그는 황정견(黃庭堅)ㆍ주희(朱熹) 등에 의해 소선(蘇仙)으로도 일컬어졌다. 소식은 평소 도잠(陶潛)ㆍ이백(李白)ㆍ백거이 등을 가장 사모하여 그들의 기절을 본받고 화운(和韻)도 많이 하였었다. 소자재거항【蘇子再居杭】송(宋) 나라 소식(蘇軾)이 신종(神宗) 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반대하여 소(疏)로 통론(痛論)했다가, 안석을 거슬려 두 번이나 항주(杭州) 지주(知州)로 좌천되어 갔다. 소자첨【蘇子瞻】자첨은 소식의 자(字). 소자춘행도【邵子春行圖】소자춘행도란 송(宋) 나라 때 도학자인 소옹(邵雍)이 봄철에 조그마한 수레를 타고서 임의(任意)대로 출유하던 광경을 묘사한 그림을 말한다. 소작【少作】소작은 연소(年少)할 때에 지은 시문을 가리킨다. 소작정【笑作霆】신이경(神異經)에 의하면, 신선의 영수(領袖)인 동왕공(東王公)이 옥녀와 투호(投壺)를 할 적에 그 화살이 혹 빗나가서 병[壺]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에는 하늘이 웃었는데, 그 입을 벌리고 웃을 때에 흘러나온 빛이 바로 번개였다는 고사가 있다. 소잔자방【燒棧子房】소잔은 잔도(棧道)를 끊어버린다는 뜻이고, 자방(子房)은 한 고조(漢高祖)의 신하 장량(張良)의 자이다. 장량이, 한왕(漢王)이 다시 관중(關中)으로 돌아갈 뜻이 없음을 온 천하에 보여 항왕(項王)으로부터 의심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 한왕을 설득하여 잔도를 불태워 끊어버렸던 일을 말한다. 《漢書 卷四十 張良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