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송부【松府】송경(松京) 즉 개성(開城)을 가리킨다. 송악산(松岳山) 밑에 있던 고려의 서울이란 뜻으로 조선조 때 불렸던 이름이다.

송부【宋賦】전국시대 초 나라 송옥(宋玉)의 사부(辭賦)로 고당부(高唐賦)를 말한다. 초 양왕(楚襄王)과 무산(巫山)의 선녀가 운우지정(雲雨之情)을 나눈 것을 노래하였다.

송부하시【宋賦何詩】송옥(宋玉)의 부와 하손(何遜)의 시라는 뜻이다. 송옥은 전국 시대 초(楚) 나라 사람인데 일설에는 굴원(屈原)의 제자라고 한다. 하손은 양(梁) 나라 사람으로 시를 잘 지었다.

송비공개【松飛孔蓋】공자가 길에서 정자(程子)를 만나 일산을 비스듬이 기울이고 이야기한 일이 있다. 여기서는 솔이 일산과 같다는 말이다.

송비홍【送飛鴻】송비홍은 곧 ‘날아가는 기러기를 보낸다’는 뜻으로, 혜강(嵇康)의 형수재공 목입군증시(兄秀才公穆入軍贈詩)에 “……눈으로는 돌아가는 기러기를 보내고 손으로는 오현금(五絃琴)을 탄다……[目送歸鴻 手揮五絃]" 하였다.

송삼백【誦三百】사신의 임무를 맡을 만한 자질을 갖추었다는 뜻이다. 공자가, “시경(詩經) 삼백 편을 외우고서도 사신으로 나가 혼자서 처결하지 못하면 비록 많이 외운다 한들 어디에 쓰겠는가.” 하였다. 《論語 子路》

송서【送西】서반(西班)으로 보냄. 본래 문관(文官)인 사람에게 무관(武官)인 중추부(中樞府)나 오위(五衛)의 벼슬을 주는 것.

송설【松雪】원(元) 나라 때 명필 조맹부(趙孟頫)의 호이며, 그의 서체를 또한 송설체(松雪體)라 한다.

송설체【松雪體】조맹부의 서체.

송섬【宋纖】송섬은 진(晉) 나라 때의 은사(隱士)로 일찍이 주군(州郡)의 부름에 전혀 응하지 않고 주천(酒泉)의 남산(南山)에 은거하면서 수천 명의 제자들에게 학문을 가르쳤는데, 한번은 주천태수(酒泉太守) 마급(馬岌)이 그를 만나 보려고 찾아갔으나, 그가 굳이 거절하고 만나 주지 않으므로, 마급이 그를 사람 가운데 용[人中之龍]이라고 감탄하면서 시(詩)를 지어 석벽(石壁)에 새기었으니, 그 시에 “붉은 낭떠러지는 백길이요 푸른 절벽은 만길이나 되는데 기이한 수목들이 울창하여 등림처럼 무성하구나 옥 같은 사람이 여기에 있으니 오직 나라의 보배인데 집은 가까우나 사람이 머니 실로 내 마음을 애타게 하네[丹崖百丈 靑壁萬尋 奇木蓊鬱 蔚若鄧林 其人如玉 維國之琛 室邇人遐 實勞我心]”라고 하였다. 《晋書 卷九十四》

송성구【宋聖求】성구는 송상인(宋象仁)의 자(字)로, 임진왜란 때 동래 부사(東萊府使)로 장렬히 전사한 송상현(宋象賢)의 아우이다.

송송【悚悚】두려워하는 모양

송송【㩳㩳】잡는 모양

송시삼백【誦詩三百】외국에 사신으로 나가 혼자서 임무를 훌륭히 수행할 수 있다는 말이다.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시(詩) 삼백 편을 외우되, 사방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사명을 완수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많이 왼들 무엇하리오.” 한 데서 온 말인데, 즉 시경(詩經)에 밝은 사람은 사리에 통달하여 말을 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論語 子路》

송시전대【誦詩專對】전대는 외국에 사신가서 단독으로 응대하여 군명(君命)을 완수하는 것을 이른 말로,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시 삼백 편을 외우고도 정사를 맡기면 해내지 못하고, 사방에 사신가서 전대하지 못한다면 비록 많이 외더라도 어디에 쓰겠는가.[誦詩三百 援之以政 不達 使於四方 不能專對 雖多亦奚以爲]”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子路》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