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쌍모【雙旄】당(唐) 나라 때 절도사나 관찰사 등 지방 장관이 부임할 적에 위에서 내리던 의장(儀仗). 쌍미【雙美】쌍미는 둘이 함께 뛰어나다는 뜻. 충(忠)과 효(孝). “어여쁠시고, 충과 효, 쌍미로 기린각에 그렸도다[可憐忠與孝 雙美畵麒麟].” 《杜甫詩》 쌍배【雙排】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누어 말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쌍벽【雙璧】한 쌍의 구슬. 여럿 중에 우열을 가릴 수 없이 뛰어난 둘 또는 두 사람의 아주 뛰어난 인물을 말함 쌍봉사【雙峯寺】두보(杜甫)의 일백운시(一百韻詩)에 “내 몸은 쌍봉사에 허여하였고 교문은 칠조의 선종을 구하노라[身許雙峯寺 門求七祖禪]”하였다. 《杜少陵集 卷十九》 쌍부【雙鳧】한 나라 때 섭령(葉令)으로 있었던 왕교(王喬)를 가리킨다. 후한서(後漢書) 방술전(方術傳) 왕교에, “왕교는 하동(河東) 사람인데 현종(顯宗) 때 섭령이 되었다. 왕교는 신술(神術)이 있어서 매달 삭망(朔望)에 대(臺)에 나와 조회하였다. 황제는 그가 자주 오는데도 수레가 보이지 않는 것을 괴이하게 여겨 태사(太史)로 하여금 몰래 엿보게 하였다. 태사가 엿본 뒤에 왕교가 올 때 두 마리의 오리가 동남쪽에서 날아온다고 하였다. 이에 오리가 오는 것을 보고 그물을 펴서 잡으니, 단지 신발 한 짝만 있었다. 상방(尙方)에 명하여 자세히 살펴보게 하니 전에 상서원(尙書院)의 관속들에게 하사한 신발이었다.” 하였다. 쌍부【雙鳧】후한(後漢) 때 하동(河東) 사람 왕교(王喬)가 섭현(葉縣)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자주 도성(都城)에 드나들었는데, 올 때에 수레나 말도 보이지 않고 오직 두 마리의 집오리만 날아오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그물로 잡은 결과 그물 속에 신발 한 짝만 있더라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보통 현령의 고실(故實)을 이야기할 때 부석(鳧舃)이라는 표현을 쓴다. 《後漢書 方術 王喬傳》 쌍부【雙鳧】후한(後漢) 때에 신술(神術)이 있었던 왕교(王喬)가 섭현령(葉縣令)으로 있으면서 매월 삭망(朔望)으로 조회를 올 적에 그의 거기(車騎)가 보이지 않자, 임금이 몰래 태사(太史)를 시켜 그를 엿보게 한 결과, 그가 올 때마다 반드시 오리 두 마리가 동남쪽에서 날아오므로, 이를 그물로 잡아놓고 보니 바로 신 한 짝이 있을 뿐이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전하여 쌍부는 지방관의 뜻으로 쓰인다. 《後漢書 王喬傳》 쌍비【雙扉】문짝이 두 개인 사립문. 쌍비【雙碑】원(元) 나라의 황후가 보낸 불경(佛經)을 문수사(文殊寺)에 수장(收藏)할 때, 이제현(李齊賢)이 왕명을 받들어 지은 비문(碑文)을 말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46 春川都護府》 쌍석【雙舃】동한(東漢) 왕교(王喬)가 섭현(葉縣)의 수령으로 나간 뒤 서울에 올 때마다, 예전에 상서(尙書)의 관속으로 있을 적에 받았던 신발을 오리로 변하게 하여 그 위에 올라타고 왔다는 전설이 있다. 《後漢書 卷82上 方術傳上 王喬傳》 쌍선【雙扇】오작교 앞에 달려 있는 사립문을 말한다. 당 나라 조황(趙璜)의 ‘칠석시(七夕詩)’에, “오작교 머리의 두 부채가 열려짐에 해마다 한 차례씩 은하 건너오누나.[烏鵲橋頭雙扇開 年年一度過河來]”하였다. 쌍성【雙成】서왕모(西王母)의 시녀인 동쌍성(董雙城)을 말한다. 서왕모가 한 무제(漢武帝)의 궁중에서 연회를 베풀 때 그녀에게 명하여 운화(雲和)의 피리 음악을 연주하게 하였다 한다. 쌍성【雙星】은하(銀河)의 서쪽에 있는 견우성(牽牛星)과 은하의 동쪽에 있는 직녀성(織女星)을 이름이다. 쌍성가절【雙星佳節】쌍성은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을 지칭하는데, 매년 7월 칠석(七夕)에 은하수를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다. 그러므로 7월 칠석을 말한다. 쌍성격강하【雙星隔絳河】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을 말한다. 쌍수【雙樹】사라쌍수(沙羅雙樹)의 준말로, 학수(鶴樹)라고도 한다. 석가모니(釋迦牟尼)가 입멸(入滅)한 장소에 서 있었던 나무 이름으로, 사찰 경내에 있는 거목을 가리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