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백시【伯始】백시는 후한(後漢) 호광(胡廣)의 자로서, 안제(安帝)ㆍ순제(順帝)ㆍ충제(沖帝)ㆍ질제(質帝)ㆍ환제(桓帝)ㆍ영제(靈帝) 등 여섯 조정을 30여년 동안 섬겼는데 사리에 밝고 조정의 법도에 대한 지식이 해박하여 서울에서 말이 떠돌기를 “만사가 풀리지 않거든 백시에게 물어보소 천하의 중용은 호공에게 있다네.” 하였다 한다. 《後漢書 卷四十四 胡廣傳》

백시중용【伯始中庸】한 나라 호광(胡廣)의 자(字)가 백시(伯始)인데, 경학(經學)에 익숙하고 나라의 원로(元老)로서 삼공(三公)의 지위에 있으면서 모든 정무(政務)를 잘 처리하였으므로 당시의 사람들이, “모든 일이 처리되지 않거든 백시에게 물어라. 천하의 중용(中庸)은 호공(胡公)에 있네.” 하였다. 그러나, 당시에 왕씨가 세력을 부려서 나라를 빼앗았는데도 그는 나라를 생각하지 않고 몸만 보전하니, 후세에서는 이를, “호광의 중용”이라고 기롱하였다.

백신난속【百身難贖】공을 살려낼 수만 있다면 백 번 죽는 한이 있어도 기꺼이 자신의 몸을 바치겠다는 말이다. 시경(詩經) 진풍(秦風) 황조(黃鳥)에 “대신 죽어 살려낼 수만 있다면, 백 번 죽더라도 기꺼이 하리.[如可贖兮 人百其身]”라는 말이 있다.

백아【伯牙】종자기(鍾子期)와 백아(伯牙)는 모두 춘추 시대 사람으로,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는 거문고 소리를 잘 들었는데, 백아가 일찍이 거문고를 타면서 높은 산에 뜻을 두자, 종자기가 듣고 말하기를 “좋다! 험준함[峩峩]이 마치 태산(泰山) 같구나.” 하였고, 백아가 흐르는 물에 뜻을 두고 거문고를 타자, 종자기는 또 말하기를 “좋다! 양양(洋洋)함이 마치 강하(江河)와 같구나.” 하여 백아의 생각을 종자기가 다 알아들었다. 그리하여 종자기가 죽은 뒤에는 백아가 자기 거문고 소리를 알아줄 이가 없다 하여 거문고 줄을 끊어버리고 다시 타지 않았다고 한다. 《呂氏春秋 孝行覽 本味》

백아곡【白鴉谷】백아곡은 검단산(黔丹山)북쪽에 있는데 작설차가 난다.

백아곡【白鴉谷】백아는 반포(反哺)할 줄 모른다는 까마귀이다.

백아금【白牙琴】백아는 춘추 시대 초 나라 사람으로 거문고를 잘 탔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면 종자기(鍾子期)가 잘 알아들었다. 백아의 뜻이 높은 산에 있으면 종자기가 말하기를 “높고 높은 산 같구려.” 하고, 백아의 뜻이 흐르는 물에 있으면 “일렁일렁 흐르는 물 같구려.” 했는데, 종자기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 하였다.

백아유수【伯牙流水】춘추(春秋) 시대의 거문고의 명수 백아가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을 타면,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그 의미를 잘 알아들었는데,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고 한다.

백아절현【伯牙絶絃】전국시대(戰國時代)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이 났던 백아(伯牙)에게는 자신의 음악세계를 알아주는 유일한 사람인 종자기(鍾子期)가 있었는데, 종자기가 죽자 슬퍼하여 거문고 줄을 끊어버리고 더 이상 거문고를 다루지 않았다는 고사이다. 가장 친한 친구가 죽었을 때의 슬픔을 이르거나,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이다. 지음(知音)

백아현【伯牙絃】백아가 거문고를 타면서 고산(高山)에 뜻을 두면 종자기(鍾子期)가 옆에서 듣고는 “마치 태산처럼 높고 높도다.[峨峨兮若泰山]”하였고, 유수(流水)에 뜻을 두면 “마치 강하처럼 양양하도다.[洋洋兮若江河]”하면서 찬탄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列子 湯問》

백악【白嶽】백악은 서울의 백악산으로 곧 대궐을 말함.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