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범로【范老】송(宋)의 범중엄(范仲淹)을 말한 것. 중엄이 재주가 높고 뜻이 원대하여 늘 천하를 자기 책임으로 삼아왔으며, 이미 현달한 뒤에는 더더욱 선을 좋아하고 베풀기도 좋아하여 의전(義田) 제도를 만들어 두고 주위의 겨레붙이들을 돌보아 모두 요부하게 만들었음. 《宋史 卷314》

범로요주【范老饒州】범로는 북송(北宋) 시대의 범중엄(范仲淹)을 높여 이른 말. 범중엄이 일찍이 재상 여이간(呂夷簡)과 서로 뜻이 맞지 않아 여이간에 의해 조정에서 쫓겨나 지요주(知饒州)로 좌천되었었다. 《宋史 卷三百十四》

범로흉리갑【范老胸裡甲】송(宋) 나라 범중엄(范仲淹)이 토벌에 나섰을 때, 원호(元昊)의 반란군들이 “뱃속에 수만의 갑병이 들어 있다.[腹中自有數萬甲兵]”고 하면서 무서워했다고 한다. 《名臣傳 范仲淹》

범망【凡亡】춘추 시대에 범 나라는 아주 작은 나라였는데, 초왕(楚王)과 범군(凡君)이 서로 만난 자리에서 초왕의 신하가 ‘범 나라는 망한다.’는 말을 세 번 되풀이하자, 범군이 말하기를 “범 나라가 망하더라도 나의 존재는 잃게 할 수 없다. 범 나라가 망하여도 나의 존재를 잃게 할 수 없고 보면, 초 나라의 존재함도 존재함이 되기에 부족하다. 그렇다면 범 나라는 애당초 망한 것이 아니요, 초 나라도 애당초 존재한 것이 아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田子方》

범방비【范滂轡】난세(亂世)에 정치를 혁신하여 천하를 안정시키고자 하는 뜻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당고열전(黨錮列傳) 범방(范滂)에, “이때 기주(冀州)에 기근이 들어서 도적떼가 일어났는데, 범방이 청조사(淸詔使)가 되어 안찰하게 되었다. 범방은 수레에 올라타 말고삐를 고쳐 잡고는 개연히 천하를 맑게 할 뜻을 품었다.” 하였다.

범범【氾氾】물에 둥둥 뜨는 모양. 널리 대중을 사랑하는 모양

범범【汎汎】물에 표류하는 모양, 물이 넓게 차란차란 흐르는 모양

범범【泛泛】표류하는 모양, 가득 차는 모양, 들떠서 침착하지 못한 모양

범범【渢渢】중용의 소리, 알맞은 소리

범부무곤【范婦無褌】범씨는 진(晉) 나라의 은자 범선(范宣)을 가리킨다. 그는 집이 무척 가난하였는데, 한번은 예장 태수(豫章太守)가 많은 비단을 보내 주었으나 하나도 받지 않았다. 태수가 두 길쯤 되는 비단을 끊어주면서 “어찌 부인으로 하여금 속옷이 없게 할 수 있단 말인가.” 하자 그는 그제야 웃으며 받았다.

범부생진【范釜生塵】범염(范冉)의 솥 안에 먼지만 쌓이다.

범비【范轡】후한(後漢) 때 지사(志士) 범방(范滂)이 청조사(淸詔使)로 기주(冀州)에 내려갈 적에 수레에 올라 고삐를 잡고는, 흐린 세상을 한번 징청(澄淸)시키려는 개연(慨然)한 뜻을 두었다.

범석호【范石湖】범성대(范成大). 석호는 호(號). 송(宋) 나라 오현(吳縣) 사람. 문장으로 유명하고 34권의 석호집(石湖集)이 전해짐. 임금이 ‘석호(石湖)’ 두 글자를 친필로 써주니, 성재(誠齋) 양만리(楊萬里)가 시를 지어 칭찬하였다.

범성대【范成大】송(宋) 나라 시인. 자는 치능(致能), 호는 석호 거사(石湖居士). 시에 능하여 양만리(楊萬里)와 병칭됨. 저서에 석호집(石湖集)ㆍ오선록(吳船錄)이 있음.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