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병석【甁錫】승려들이 사용하는 병발(甁鉢)과 석장(錫杖)으로, 곧 승도(僧徒)를 뜻한다.

병성【帲箵】병성은 수레 위에 먼지를 막는 대자리임. 후한(後漢) 때 공순(孔恂)이 주(州)의 별가(別駕)로 있었는데, 별가의 수레에는 본디 병성이 있었던바, 이 때 자사(刺史)가 마침 부(部)를 순행하려면서 날이 저물자 자사가 노하여 별가의 수레에 있는 병성을 제거하려 하므로, 공순이 말하기를 “명사군(明使君)께서 스스로 늦게 출발하면서 국가의 제도인 병성을 제거하면 되겠는가. 별가는 버릴 수 있어도 병성은 생략할 수 없다.” 하며 완강하게 거부하니, 자사가 마침내 사과하고 병성을 제거하지 않았다는 고사가 있다.

병수【甁水】인도(印度)의 풍속에 손님을 맞으면 이쑤시개[楊枝]와 향수(香水) 등을 내놓기 때문에 중들이 수도할 때도 손님이 오면 그렇게 하는데, 이것을 양지정수(楊枝淨水)라 한다.

병수복수【甁收覆水】엎지러진 물 병에 담는다는 말로 강태공(姜太公)의 전처(前妻)가 일찍이 강태공이 미천했을 때 태공을 버리고 갔다가 태공이 부귀한 뒤에 다시 합하기를 원하자, 태공이 엎지러진 물은 다시 쓸어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그를 거절한 고사에서 온 말이다.

병안시【病眼詩】백거이(白居易)의 병안화시(病眼花詩)를 이르는데, 백낙천시후집(白樂天詩後集) 권10에 나타나 있다.

병야비위빈【病也非爲貧】공자 제자 원헌(原憲)이 너무 청빈했는데, 어느 날 자공(子貢)이 성대한 차림으로 그를 찾았다. 원헌이 초라한 모습으로 나와 자공을 맞이하자 자공은, 선생께서 어찌 그리 병이 들었느냐고 하였다. 이에 원헌이 대답하기를, “내가 들은 바로는, ‘재물이 없으면 그를 일러 가난하다고 하고, 배우고도 그대로 실천을 못하면 그를 일러 병들었다’고 한다는데, 지금 나는 가난한 것이지 병든 것은 아니오.” 하여 자공이 부끄러워했다고 함. 《莊子 讓王》

병예【屛翳】바람 귀신, 즉 풍사(風師)의 이름이다. 일설(一說)에는 풍신(風神), 뇌신(雷神), 우신(雨神)의 총칭이라고도 한다.

병예현명【屛翳玄冥】병예는 풍백(風伯), 현명은 우사(雨師)를 말한다.

병위【丙魏】병길(丙吉)과 위상(魏相)인데 한(漢) 나라 선제(宣帝) 때 명재상이다. 《漢書 卷 74 魏相丙吉傳》

병유마【病維摩】석가(釋迦)와 동시대 사람인 유마(維摩)가 병을 이유로 석가가 설법(說法)하는 곳을 가지 않고 석가로 하여금 여러 비구(比丘)ㆍ보살(菩薩)을 시켜 자기 병상으로 문병을 보내도록 하였음. 《維摩經 方便品》

병일취【倂日炊】날마다 밥을 짓지 못하고 이틀, 사흘 만에나 한 번씩 밥을 짓는 것을 이른 말로, 즉 양식이 없어서 끼니를 늘 거르는 것을 의미한다.

병입고황【病入膏肓】병이 고황에까지 들었다. 고황(膏肓)은 심장과 격막 사이의 부분. 신체 부위 중에서 고황에 병이 들면 침이나 약으로도 치료할 가망이 없었다 해서, 병이 위중하여 치료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고치기 어려운 오류(誤謬)에 비유하기도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