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부동미【不同味】먹을 것이 많아서 맛이 다른 것. 보통 사람과 다른 취미.

부동심【不動心】마음이 어떤 일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동요되는 일이 없음.

부량가【浮梁賈】차[茶]를 파는 장사꾼. 부량(浮梁)은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차가 많이 나는 곳임. 《唐書 食貨志》

부령【腐令】한 무제(漢武帝) 때 이릉(李陵)을 변호하다가 무제의 노염을 사서 부형(腐刑 宮刑)을 당한 태사령(太史令) 사마천(司馬遷)을 이른 말인데, 전하여 그가 저술한 사기(史記)를 말하기도 한다.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후한 때 곽하(郭賀)가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있으면서 대단히 선정(善政)을 베풀어 백성들이 노래를 지어서 그를 칭송하기까지 하였으므로, 현종(顯宗)이 순수(巡狩)차 그곳에 왔다가 그 사실을 듣고는 특별히 그에게 삼공복(三公服)과 면류관(冕旒冠)을 내리면서, 그로 하여금 부(部)를 순행할 때에 수레의 휘장을 다 걷어 그의 공복 입고 면류관 쓴 모습을 백성들이 보고 모두 영광스럽게 여기도록 하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二十六》

부릉【涪陵】부릉은 파촉(巴蜀) 남쪽의 땅 이름이다.

부림【傅霖】은(殷) 고종(高宗)이 부열(傅說)을 상(相)으로 명(命)하던 말. 세상을 건지고 백성에게 은택을 입히라는 말이다. 서경(書經) 열명상(說命上)에 “고종(高宗)이 이르기를 ‘만약에 가뭄이 들거든 너[傅說]를 써서 장마비[霖]를 내리게 하리라.[若歲大旱 用汝作霖雨]’하였다.”는 구절이 있다.

부마【駙馬】임금의 사위. 공주의 부군(夫君).

부묵자【副墨子】문자(文字)를 이름. 장자집해(莊子集解)에는, “宣云文字是翰墨爲之 然文字非道 不過傳道之助 故謂之副墨 又對初作之文字言 則後之文字 皆其孶生者 故曰副墨之子”라 했음.

부미거위【扶微去危】서경(書經)에,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미묘하다[人心惟危 道心惟微].”라는 말이 있는데, 위태로운 인욕(人欲 人心)을 버리고 미묘한 천리(天理 道心)를 붙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부미금【付美錦】지방관에 임명된 것을 비유한 말. 춘추 시대 정(鄭) 나라 대부 자피(子皮)가 윤하(尹何)를 어느 읍재(邑宰)로 삼으려 하자, 자산(子産)이 윤하의 부적합함을 지적하여 자피에게 말하기를 “그대에게 좋은 비단이 있을 경우 사람을 시켜 그 비단으로 옷 짓는 일을 배우게 하지 않을 것이다.” 한 데서 온 말이다. 《左傳 襄公三十一年》

부민가【阜民歌】순(舜) 임금의 남풍시(南風詩)에 “남풍이 제때에 불어옴이여 우리 백성의 재물을 많이 쌓을 수 있도다[南風之時兮 可以阜吾民之財兮]” 한 데서 온 말이다.

부반목【腐蟠木】용렬한 자품을 말한다.

부배【浮杯】산서(山西)의 한 고승(高僧)이 한 조그만 잔을 타고 하수(河水)를 건넜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배도(盃渡)라 불렀다. 고승전(高僧傳) 제11권에, “옛날에 배도(杯度)란 중이 있었는데, 그의 본래 이름은 알 수 없었고, 항상 나무로 만든 술잔[木杯]을 타고 물을 건넜으므로 그렇게 이름하였다. 배도가 북방의 어느 집에 기숙하고 있다가 그 집에 불상(佛像)이 있는 것을 보고서 이를 훔쳐 달아났는데, 그 주인이 뒤쫓았으나 따라잡을 수가 없었다. 황하(黃河)의 맹진(孟津)에 이르렀을 때 배도가 목배를 타고 건너는데, 빠르기가 나는 것 같았다.” 하였다.

부백【浮白】벌주(罰酒)를 마신 다음 잔을 들어 고하는 것을 말하는데, 직접 벌주를 칭하기도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