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불공대천지수【不共戴天之讐】한 하늘 아래에 같이 살 수 없는 원수. 어버이의 원수. 불과【不過】“지나치지 않는다” 곧 “ 어느정도 밖에 안된다”라고 해석 하지요. 불관진일월【不管陳日月】진(陳) 나라 후주(後主)가 주색(酒色)에 빠져서 밤낮으로 음탕하게 놀기만 하다가 나라를 망쳤다. 불구대천【不俱戴天】하늘을 같이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같이 살 수 없을 만한 큰 원한을 비유. 아버지의 원수는 같은 하늘을 이고 살수 없으므로 세상에 살려 둘 수 없으니 반드시 죽여야 한다. 친구의 원수는 같은 나라에서 살 수가 없으니 역시 죽여야 한다.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하늘을 함께 머리에 일 수 없는 원수. 즉, 한 하늘 아래에서 함께 살 수 없는 원수, 부모의 원수. 불구심해【不求甚解】뜻을 풀기가 어려운 곳을 밝히려 하지 않는다. 불궤【不軌】궤도(軌度)의 밖으로 벗어났다는 뜻으로 즉 불법(不法)을 말한 것임. 불귀지구가【不歸知久假】맹자(孟子)의 말에, 오패(五覇)는 인(仁)을 빌린 자이다. 빌린 것도 오래 하여 돌리지 않으면 제것이 안될 줄을 어찌 알랴.” 하였다. 이것은 처음에는 공리(功利)를 위하여 인의(仁義)를 표방하였으나 끝까지 실행하면 된다는 뜻이다. 불극【不克】불극은 무슨 일을 해내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불급【不及】미치지 못한다. 불급설【駟不及舌】말을 조심하고 경계해야 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불담왕【不談王】왕도(王道)를 담론(談論)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벼슬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불당【佛幢】불당은 절 앞에 세운 쇠로 만든 당간(幢竿)이다. 불도징【佛圖澄】진(晉) 나라 때의 중으로, 본래 천축국(天竺國) 사람인데 낙양(洛陽)에 와서 북조(北朝)의 불법을 크게 일으킨 자이다. 도안(道安) 등의 제자를 길렀다. 그는 현술(玄術)에 묘통(妙通)하였다 한다. 불두방분【佛頭上放糞】이 말은, 본질은 선(善)한데 좋지 못한 것이 붙어 있다는 것을 비유함. 전등록(傳燈錄)에, “鳥雀 於佛頭上放糞”이란 말이 보임. 불려【拂廬】토번(吐蕃) 사람들이 사는 장막이다. 불렵현훤【不獵懸貆】시경(詩經) 위풍(魏風) 벌단(伐檀)에 “애써 뛰고 달려 사냥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네 집 뜰에 오소리가 매어 달릴꼬.[不狩不獵 胡瞻爾庭有懸貆兮]" 한 데서 온 말인데, 여기서는 저자 자신이 사냥을 않고도 돈을 주고 고기를 사 먹을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불로장생【不老長生】늙지 않고 오래 산다는 뜻의 고사성어. 불률【不律】불률은 붓의 별칭임. 진(秦) 나라 때 몽염(蒙恬)이 맨 처음 토끼의 털로 붓을 만들었으므로, 한유(韓愈)의 모영전(毛潁傳)에서 이 고사를 인용하여 “토끼의 털을 취하여 붓을 만들어 간독(簡牘)을 쓰면 천하에 문자를 같이하게 될 것이니, 진 나라가 천하를 통일하겠도다.” 한 데서 온 말이다. 불립문자【不立文字】말이나 글을 세워 말하지 않고, (말이나 문자에 의한) 가르침 밖에 따로 전하는 것이 있음. 곧 진리는 마음에 의해서만 전해지고 받아들여진다는 말. 이는 선종禪宗의 요체를 나타내는 말의 하나로, 모든 언어나 경전[글]에 의하지 않고, 석가가 깨달은 불도를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以心傳心) 것을 말함.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