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도시【倒屎】신발을 거꾸로 신는다는 말로, 대단히 반가워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도식【桃植】복숭아는 곧 준수(俊秀)한 선비를 도리(桃李)에 비유한 데서 온 말로, 즉 인재 양성을 의미한 말이다.

도신【到申】옛날에 관리들이 진시(辰時)에 출사하여 신시(申時)에 퇴근을 하였다.

도신단단【刀身段段】칼이 여러 번 꺾어지는 일.

도심녕상마우호【道心寧爽馬牛呼】소라고 부르면 소라고 대답하고, 말이라고 부르면 말이라고 대답한다는 옛말이 있는데, 남과 이름을 다투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도씨경【陶氏徑】도연명(陶淵明)이 팽택령(彭澤令)을 그만두고 집에 돌아와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세 갈래 오솔길은 묵혀졌으나 솔과 국화는 그대로 있네[三徑就荒 松菊猶存].” 한 데서 나온 것임.

도안【道安】동진(東晋) 때의 고승(高僧) 불도징(佛圖澄)의 제자, 양양(襄陽) 단계사(檀溪寺)를 세우다. 진왕(秦王) 부견(苻堅)이 양양(襄陽)을 취하고 안(安)을 얻고 기뻐하여 말하되, “내가 10만 군사로 양양을 취하여 한 사람 반을 얻었으니, 안공(安公)이 한 사람이요, 습착치(習鑿齒)가 반 사람이다.” 하였다.

도안【道安】진(晉) 나라 때 고승(高僧)이니, 불도징(佛圖澄)의 제자. 석가(釋迦)보다 존귀한 자가 없다 하여 석(釋)으로서 씨(氏)를 삼았으니, 후세의 불도(佛徒)들이 석씨(釋氏)라고 칭호한 것이 도안으로부터 시작되었다. 《梁高僧傳 卷五》

도안공【陶安公】선인(仙人)의 이름. 원래는 대장장이였는데 뒤에 적룡(赤龍)을 타고 승천했다 한다.

도야【陶冶】도(陶)는 기와를 굽는 사람이요 야(冶)는 풀무장이인데 이는 화육(化育) 재성(裁成)의 뜻을 빌어서 표현한 것임. 회남자(淮南子)에 “천지를 포괄하고 만물을 도야한다.” 하였음.

도어【徒御】도보(徒步)로 가면서 연(輦)을 끄는 자와 수레 위에서 말을 모는 자를 합해 일컫는 말이다.

도어사【都御史】대헌과 같은 말로 대사헌을 뜻한다.

도연【道緣】도가(道家)와의 인연, 즉 선경(仙境) 속에서 양생(養生)을 할 수 있게 된 특별한 인연이라는 뜻이다.

도열【桃茢】복숭아나무와 갈대 이삭으로 만든 비. 옛날에 이 비로 집안의 사기(邪氣)를 쓸어내었다고 한다.

도열강서파【圖列江西派】북송(北宋)의 황정견(黃庭堅)이 새로운 시풍(詩風)을 개창하여 강서시파(江西詩派)라 불렸는데, 여본중(呂本中)이 이들 법사(法嗣) 25인에 대한 강서시사종파도(江西試社宗派圖)를 그렸다.

도엽【桃葉】진(晉) 나라 왕헌지(王獻之)의 애첩(愛妾) 이름인데, 왕헌지는 도엽을 몹시 사랑하여 일찍이 그를 위해 도엽가(桃葉歌)를 지어 부르기까지 하였다.

도엽가【桃葉歌】도엽가는 악부(樂府)의 오성곡사(吳聲曲辭) 이름으로, 진(晉) 나라 왕헌지(王獻之)가 그의 애첩(愛妾)인 도엽(桃葉)을 보내면서 지어 불렀던 노래이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