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독반제인【獨返齊人】한 아내와 한 첩을 데리고 살던 한 제(齊) 나라 사람이 밖에만 나가면 주육(酒肉)을 실컷 먹고 들어오는데, 물어 보면 모두 부귀한 사람들과 술을 먹었다고 하므로, 한번은 그 아내와 첩이 서로 약속을 하고 그가 가는 곳을 미행해 보니, 그는 끝내 동곽(東郭)의 묘지(墓地)가 있는 곳에 가서 여기저기서 남은 제물(祭物)들을 빌어서 먹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孟子 離婁下》 독배【牘背】문서(文書)의 이면(裏面)을 말하는데, 사기(史記) 주발세가(周勃世家)에 “발(勃)이 천금(千金)을 옥리(獄吏)에게 줌으로써 옥리가 독배에 써서 보이기를 ‘공주(公主)로써 증거를 삼는다.’ 했다.” 한 데서 온 말로, 죄인(罪人)을 너그러이 용서하는 데 비유한 말이다. 독배【牘背】억울하게 고발당한 것을 말한다. 한 문제(漢文帝) 때 강후(絳侯) 주발(周勃)이 모반죄(謀反罪)로 고발당해 하옥(下獄)되고 나서 어찌할 줄을 모르자, 옥리(獄吏)가 주독(奏牘)의 뒷면[牘背]에 “공주(公主)를 증인으로 내세우라.”고 써서 가르쳐 준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史記 卷57 絳侯周勃世家》 독보【獨步】홀로 걸음. 어떤 분야에서 남이 따를 수 없을 정도로 앞서감. 즉,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빼어남 독부【獨夫】악정(惡政)으로 인심을 잃은 외로운 임금을 지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주(紂)가 무도하여 천명(天命)과 인심(人心)이 이미 떠남으로써 주는 한 사람의 남자에 불과할 뿐이라는 데서 온 말이다. 주 무왕(周武王)이 말하기를, “옛 사람의 말에 ‘우리를 어루만져 주면 임금이지만, 우리를 학대하면 원수이다.’라고 했다. 독부 수(受)는 크게 위압을 일삼고 있으니, 그대들 대대로의 원수이다.”라고 하였다. 수(受)는 은(殷) 나라 끝 임금인 주(紂)의 이름. 《書經 周書 泰誓下》 독불견【獨不見】악부 가사(樂府歌辭)의 하나. 양(梁) 나라 때 유운(柳惲)이 처음 지은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여 상심하는 뜻을 서술한 것이다 독불장군【獨不將軍】혼자서는 장군이 되지 못함. 일은 혼자 하기 어렵고 여럿이 같이 해야 함. 또는 자기 멋대로 일을 처리하는 사람 독비곤【犢鼻褌】쇠코잠방이. 베로 허리 전면을 덮고 뒤로 돌려 매었다. 《漢書 司馬相如傳 犢鼻褌注》 독서망양【讀書亡羊】책을 읽느라 양을 잃어버림. 마음이 밖에 있어 도리를 잃어버리는 것. 다른 일에 정을 뺏겨 중요한 일이 소홀하게 되는 것. 《莊子 騈拇篇》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남. 책을 읽을 때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더라도 여러 번 반복해 읽다보면 저절로 뜻을 알게 됨 독서삼도【讀書三到】남송 때 주희가 한 말로 책을 읽을 때에는, 口到(구도)로서 입으로 소리를 내어 읽을 것, 眼到(안도)로서 눈으로써 읽을 것. 心到(심도)로서 마음을 집중하여 읽는다면 책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독서삼도【讀書三到】독서의 삼법. 즉 입으로 다른 말을 하지 아니하고[口到], 눈으로 딴 것을 보지 않고[眼到], 마음을 하나로 가다듬고[心到] 반복, 숙독하면 그 참뜻을 깨닫게 된다는 뜻 독서삼매【讀書三昧】독서에 마음을 집중하는 경지. 독서삼여【讀書三餘】책 읽는 좋은 시기에 대해서 한 말로서 일년 중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겨울철, 하루에 마지막으로 남은 밤, 밖에서 일할 수 없는 비가 오는 날을 말한 것으로 이처럼 남은 시간을 이용하면 독서나 공부가 잘 되는 것이라 하였다. 독서상우【讀書尙友】책을 읽어 위로 성현들과 벗함. 독서를 통해 옛 선현과 사상적인 공감을 하여 마치 살아있는 인물과 만나 사귀듯 함 독서상우【讀書尙友】책을 읽어서 옛날의 현인을 만남 독서상우【讀書常友】책을 읽음으로써 옛 현인들과 벗이 될 수 있다는 뜻. 독서파만권 하필약유신【讀書破萬卷 下筆若有神】두보(杜甫)의 시 증위좌승(贈韋左丞)에, “만권의 책을 독파하고 나니 붓을 들어 글을 짓는 것이 신들린 듯하더라”하여, 자신의 공부를 술회하였음.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