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돌돌【咄咄】돌돌은 돌돌괴사(咄咄怪事)의 준말로, 뜻밖의 괴이한 일이라고 생각하여 놀라는 것을 말한다. 진서(晉書) 은호전(殷浩傳)에 “은호가 조정에서 쫓겨난 뒤 담소하고 음영(吟咏)하는 일을 끊지 않았으므로 자기 식구들도 쫓겨난 데 대한 유감의 기색을 전연 볼 수 없었는데, 온종일 허공에다 ‘돌돌괴사’라는 네 글자만 쓰고 있을 뿐이었다.” 하였다. 돌돌【咄咄】뜻밖의 일에 놀라 지르는 소리 돌돌괴사【咄咄怪事】돌돌괴사는 놀랄 만한 괴이쩍은 일을 말하는데, 즉 내가 어째서 이 지경이 되었을까 후회하는 뜻이다. 동진(東晉) 때 은호(殷浩)가 모함을 받고 조정으로부터 먼 곳에 추방당하였으나 조금도 원망하는 기색이 없이 하루종일 ‘돌돌괴사(咄咄怪事)’ 넉 자만 쓰고 있었다 한다. 《晉書 卷七十七 殷浩傳》 돌돌서공【咄咄書空】뜻밖의 일에 놀라고 괴이하게 여기는 데에 비유한 말이다. 돌돌(咄咄)은 돌돌괴사(咄咄怪事)의 준말로 놀랍고 괴이한 일이라는 뜻인데, 진(晉) 나라 때 은호(殷浩)가 임금에게 파출(罷黜)되고 나서도 담영(談詠)을 평상시와 같이 하므로, 집안 식구들도 그에게서 임금에게 유방(流放)된 데 대한 유감을 찾아 볼 수 없었다. 다만 그는 종일토록 공중에다 ‘돌돌괴사(咄咄怪事)’ 네 글자만을 썼다. 돌돌괴사는 놀랄 만한 괴이쩍은 일이라는 말로, 이유 없이 임금에게 유방(流放)당한 것을 탄식하는 뜻이다. 《晉書 卷七十七 殷浩傳》 돌돌은호【咄咄殷浩】돌돌(咄咄)은 놀라고 괴이하게 여기는 소리. 진(晉)의 도독(都督)이었던 은호(殷浩)는 환온(桓溫)에게 미움을 받아 관직을 박탈당하자 종일토록 공중에 ‘돌돌괴사(咄咄怪事)’ 넉 자를 썼다 한다. 《晉書 殷浩傳》 돌돌향공서【咄咄向空書】돌돌괴사(咄咄怪事)는 놀랄 만한 괴이쩍은 일이란 뜻으로, 진(晉) 나라 때 은호(殷浩)가 조정에서 쫓겨난 뒤로는 종일토록 허공에다 ‘돌돌괴사’ 네 글자만 쓰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七十七》 돌불검 석불난【突不黔 席不暖】반고(班固)의 답빈희(答賓戲)에 “성철(聖哲)들은 세상을 구제하기에 항시 급급하여 늘 천하를 주유하느라 공자(孔子)가 앉은자리는 따스해질 겨를이 없었고, 묵자(墨子)가 사는 집에는 굴뚝에 그을음이 낄 여가가 없었다.” 하였다. 돌불연불생연【突不燃不生煙】아니 땐 굴뚝에 연기날까? 곧 어떤 소문이든지 반드시 그런 소문이 날만한 원인이 있다는 뜻. 돌제【突梯】각이 없고 원만함. 동가【東柯】동가는 중국 진주(秦州) 동남쪽 50리 지점에 있다는 골짜기 이름인데, 두보(杜甫)가 약초를 캐며 노년을 보내고 싶다면서[採藥吾將老] 읊은 ‘동가는 기막히게 좋은 골짜기[東柯好崖谷]’라는 시가 있다. 《杜少陵詩集 卷7 秦州雜詩》 동가【董賈】한(漢)의 동중서(董仲舒)와 가의(賈誼). 동가구【東家丘】동가구는 동쪽 집의 공구(孔丘)라는 뜻으로, 즉 노 나라 사람으로서 공자의 서쪽 이웃에 살던 한 어리석은 자가 공자가 성인인 줄을 모르고 “저 동쪽 집의 공구를 내가 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孔子家語 本姓解ㆍ傳習錄》 동가미오【董家郿塢】간사한 자가 재물을 쌓아 두고서 노년을 즐기는 장소를 말한다. 동가는 한 나라의 동탁(董卓)을 가리킨다. 동탁이 초평(初平) 3년에 미(郿)에다가 오(塢)를 쌓고는 만세오(萬歲塢)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높이가 7장으로 장안성(長安城)과 같았으며, 그 안에 많은 재물을 쌓아 두었다고 한다. 《後漢書 卷72 董卓傳》 동가부서가귀【東家富西家貴】제(齊) 나라의 한 여자가 자기에게 청혼을 해온 동쪽 집은 부자이면서 추남이고, 서쪽 집은 가난하면서 미남이었으므로,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자겠다[東家食兮西家宿].”고 한 데서 온 말로, 사람이 이끗을 대단히 탐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동쪽에 가서 먹고 서쪽에 가서 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이 집 저 집에서 얻어먹고 지낸다는 뜻이다.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옛날 중국의 한 여인이 재물이 많고 음식이 훌륭한 동쪽 집에서 먹고, 아름다운 사내가 있는 서쪽 집에서 잠자기를 원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말로 먹을 곳, 잘 곳이 없어 떠도는 사람 또는 그런 짓.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