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두구【荳蔲】두구는 풀 이름임. 이 꽃이 활짝 피기 이전의 꽃망울을 마치 소녀(少女)가 임신한 것과 같다는 데서 함태화(含胎花)라 부르기도 하므로, 전하여 소녀가 임신한 것을 가리키는데, 두목(杜牧)의 시에 “예쁘고 간드러진 십삼 세 남짓의 소녀여 두구 가지의 꽃망울이 이월 초승이로다[娉娉嫋嫋十三餘 荳蔲梢頭二月初]”하였다.

두구초두【荳蔲梢頭】두구는 육두구(肉荳蔲)의 준말로, 이 꽃이 활짝 피기 전의 불룩한 상태를 함태화(含胎花)라고 하기 때문에 나이 어린 아가씨가 임신(妊娠)한 데에 비유한 것이다. 당(唐) 나라 두목(杜牧)의 시에 “아리따운 아가씨 십삼여 세에, 두구의 초두가 두 달째라네 [娉娉嫋嫋十三餘 荳蔲梢頭二月初]" 하였다.

두기【斗箕】두 별의 이름. 이 두 별의 사이는 은하(銀河)가 가로놓였으므로, 간격이 있어 원활하지 못한 것의 비유.

두기【杜夔】중국 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음악가로 음률에 정통했다. 위 문제(魏文帝)가 빈객 가운데서 생(生)과 금(琴)을 연주하게 하였는데 기는 난색을 지었다. 문제는 이를 좋아하지 않아 두기를 내쫓아 버렸다. 《三國志 魏志》

두기【豆萁】형제끼리 화목하지 못하고 상대를 해치려 하는 것을 가슴 아파하는 노래라는 뜻이다. 조식이 문제의 위협에 쫓겨 지은 ‘칠보시(七步詩)’ 가운데 “콩깍지를 태워 콩을 삶으니, 콩이 솥 속에서 눈물 흘리네.[煮豆燃豆萁 豆在釜中泣]”라는 구절이 있다. 《三國志 卷19》

두남【斗南】“相一星在北斗南”이라는 진서(晉書) 천문지 상(天文志上)의 기록에서 비롯되어 재상(宰相)의 지위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두남【斗南】북두성(北斗星)은 하늘의 북쪽에 있으므로 북두의 남쪽이란 천하를 말하는 것이다.

두남명【斗南名】두남은 북두성(北斗星) 남쪽이란 뜻이니, 두남의 명성이란 곧 천하제일인(天下第一人)임을 의미한다.

두남일인【斗南一人】두남은 북두칠성의 남쪽. 즉, 온 천하에서 제일 가는 현재(賢才)를 의미한다.

두노【杜老】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킨다.

두당양【杜當陽】두 당양은 당양현후(當陽縣侯)에 봉해진 진(晉) 나라 두예(杜預)를 가리킨다. 그 역시 문제(文帝)의 누이동생인 고륙공주(高陸公主)와 결혼했는데, 청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장례를 검소하게 치르도록 유명(遺命)을 남긴 내용이 진서(晉書) 권34에 나온다.

두대주【斗大州】말만 한 고을이라는 뜻으로, 보통은 작은 읍성을 가리킨다.

두덕기【杜德機】생동(生動)하는 기틀을 막는다는 뜻으로, 죽음을 뜻함. 신무(神巫) 계함(季咸)이 열자(列子)와 함께 호자(壺子)를 보고 나와서 열자에게 말하기를 “자네 선생은 죽을 것이다.” 하자, 열자가 다시 들어가 호자에게 그 사실을 고하니, 호자가 이르기를, “아까 내가 그에게 대지(大地)의 조용한 형상을 보여 주었더니, 그가 나의 두덕기를 약간 본 모양이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應帝王》

두랑【荳娘】묘령(妙齡)의 소녀를 가리킨다.

두랑납량【杜郞納涼】두랑(杜郞)은 두생(杜生)이니, 송(宋) 나라 때의 은사(隱士), 송사(宋史) 두생전(杜生傳)에 “두생이 문 밖을 나오지 않은 지가 15년이었다. 여양위(黎陽尉) 손진(孫軫)이 이유를 묻자 웃으며 ‘전하는 사람들이 너무 지나친 것이오.’ 하고는 문 밖에 있는 뽕나무 한 그루를 가리키며 ‘15년 전에 일찍이 저 뽕나무 아래에서 바람쐰 기억이 나는데, 어찌 문 밖을 나가지 않았다 할 수 있겠소.’하였다.” 한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