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두로【杜老】두로는 바로 두보(杜甫)를 높여 이른 말인데, 그의 곤오어숙자위이시(昆吾御宿自逶迤詩)에서 세상이 태평하지 못함을 걱정하는 뜻을 은밀히 부치어 “벽오동은 봉황이 깃들던 가지만 늙은 채로 남았구나[碧梧棲老鳳凰枝]”고 하였다. 《杜少陵集 卷十七》

두로【頭顱】머리를 이름.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에, “暴骨草澤 頭顱僵仆 相望於境”이라고 보임.

두로강촌흥【杜老羌村興】두로(杜老)는 두보(杜甫)를 말한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권5에 오언 고시(五言古詩)로 강촌(羌村) 3수가 실려 있다.

두로견응착【杜老見應錯】두로는 두보(杜甫)를 가리킨다. 두보의 시 장부성도초당도중유작(將赴成都草堂途中有作)에, “새 솔은 천 척 높이 안 자라서 한스럽고, 나쁜 대는 만 줄기를 낫으로 쳐낼 거네.[新松恨不高千尺 惡竹應須斬萬竿]”하였다.

두로고응비호락【杜老故應悲濩落】두로(杜老)는 두보(杜甫)를 말한다. 참고로 그의 시에 “居然成濩落 百首甘契濶”이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4 自京赴奉先縣詠懷》

두로미【杜老眉】두보(杜甫)는 당 나라 때 시인으로 그는 현종(玄宗) 천보(天寶) 14년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만나 국가가 어지럽자, 관산융마(關山戎馬) 등 나라를 걱정하는 시를 많이 읊었다.

두로음시수【杜老吟詩瘦】이백(李白)이 두보를 두고 한 말이다. 이백이 장난으로 지어 두보에게 준 [戱贈杜甫] 시에 “묻노니 그대는 작별한 뒤로 왜 그리 수척한가. 이는 모두 그 동안 시를 읊느라 그런 것이네.[借問別來太瘦生 總爲從前作詩苦]" 하였다. 《李太白集 卷三十 詩文拾遺》

두로추잠태임빈【杜老抽簪太恁頻】벼슬을 그만두는 일을 자꾸만 반복하고 있다는 말이다. 두보(杜甫)의 ‘누상(樓上)’이라는 오언 율시(五言律詩) 첫머리에 “천지간에 부질없이 머리만 긁적이며, 백옥의 비녀를 자꾸만 뽑는구려.[天地空搔首 頻抽白玉簪]”라는 표현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22》

두류산【頭流山】지리산(智異山)의 별칭이다.

두륜산【頭輪山】해남(海南)에 있음.

두릉【杜陵】두릉(杜陵)에 거하며 두릉포의(杜陵布衣)라고 자호(自號)했던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킨다.

두릉【杜陵】두릉은 오늘날 섬서(陝西) 서안시(西安市) 동남에 있던 지명.

두릉계졸【杜陵計拙】당 나라 시인 두보(杜甫)는 생계가 곤궁하여 늘 타향을 떠돌아다녔다.

두릉노【杜陵老】두릉(杜陵)에 살았던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말한다. 이백(李白)과 함께 당대(唐代) 시인의 쌍벽(雙璧)으로 일컬어지는 불후의 시성(詩聖)으로서, 두릉야로(杜陵野老)라고 자호(自號)하기도 하였다.

두릉대아질소사【杜陵大雅軼騷些】두릉은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킨 말이고 대아는 곧 큰 문장이라는 뜻이다. 초소(楚騷)는 춘추시대 초(楚) 나라 굴원(屈原)의 이소경(離騷經)을 말한 것으로, 즉 두보의 문장이 굴원보다 훌륭하다는 뜻이다.

두릉야로【杜陵野老】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말함.

두릉옹【杜陵翁】당(唐) 나라 때의 시인으로 호가 소릉(少陵)인 두보(杜甫)를 높여 이른 말이다.

두릉인【杜陵人】난리로 인해 떠돌이 생활을 하며 우국(憂國)의 심정을 읊었던 두보(杜甫)를 말한다.

두릉증식노장군【杜陵曾識老將軍】두릉(杜陵)은 두보(杜甫)를 지칭하고 노장군(老將軍)은 엄무(嚴武)를 지칭한다. 두보가 성도(成都)를 다스리던 엄무(嚴武)의 깊은 지우(知遇)를 입어 보살핌을 받다가, 그가 죽은 후 의지할 데 없이 유랑하였다. 《舊唐書 列傳 卷一百九十》

두릉추흥팔수【杜陵秋興八首】두릉(杜陵)은 두릉야로(杜陵野老)의 준말로,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호이다. ‘추흥팔수’는 대력(大曆 唐代宗의 연호) 원년에 기주(玘州 사천성 동북방의 진절현(秦節縣)) 서각(西閣)에 있을 때 지은 연작시(連作詩)이다. 《杜少陵詩集 卷17》

두릉팔애【杜陵八哀】두보의 팔애시. 당(唐) 나라 때의 현신(賢臣)인 왕사례(王思禮)ㆍ이광필(李光弼)ㆍ엄무(嚴武)ㆍ왕진(王璡)ㆍ이옹(李邕)ㆍ소원명(蘇元明)ㆍ정건(鄭虔)ㆍ장구령(張九齡) 등 여덟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여 노래한 것이다. 《杜少陵集 卷十六》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