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장경공【長庚公】금성(金星)의 딴 이름. 원래 저녁에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장경성, 새벽에 동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계명성(啓明星)이라 하는데, 또 흔히 태백성이라고도 한다. 이백(李白)의 어머니가 꿈에 장경성을 보고 그를 낳아 이름을 태백(太白)이라 했다 하며, 흔히 시에서는 달과 짝하여 읊기도 한다.

장경구【長卿口】장경은 한 경제(漢景帝) 때 사람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 그는 말은 어눌하였으나 글을 잘 지었다고 한다. 《史記 卷五十七 司馬相如傳》

장경로【長卿壚】장경(長卿)은 바로 사마상여의 자이다. 사마상여가 일찍이 임공령(臨邛令)으로 있던 친구 왕길(王吉)을 찾아갔다가 그의 주선으로 임공의 부호인 탁왕손(卓王孫)의 집에 초대를 받아 갔는데, 마침 음률을 좋아하는 탁왕손의 딸 탁문군(卓文君)이 막 청춘과부로 집에 와 있던 터라, 사마상여가 거문고를 한 곡조 타서 은근히 탁문군의 마음을 돋운 결과, 탁문군은 과연 사마상여에게 반하여 밤중에 도주해서 사마상여에게로 갔다. 그리하여 사마상여가 탁문군을 데리고 성도(成都)로 돌아와서 사는데, 워낙 가난하여 살길이 막연하자, 목로집을 차려 탁문군에게는 술을 팔게 하고 사마상여 자신은 시중(市中)에서 품팔이를 하며 지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漢書 卷五十七》

장경성【長庚星】태백성(太白星). 태백성은 곧 금성(金星)인데, 해를 뒤따라 가면서 해가 진뒤에 서쪽 밤 하늘에 보이는 이 별을 장경성(長庚星)이라 부른다.

장경순【張景順】당 현종(唐玄宗) 때의 목장 관리인 이름이다. 장열(張說)의 농우감목송덕비(隴右監牧頌德碑) 서문에 “개원(開元) 원년에는 목마(牧馬)가 24만 필이었는데, 13년에는 무려 43만 필로 늘어났다. 이에 황제가 장경순을 돌아보며 ‘말이 이처럼 번성하다니 모두가 그대의 힘이다.’라고 하자, 장경순이 ‘황제의 힘이요, 중(仲 왕모중(王毛仲))의 지휘에 의한 것일 뿐, 소신이 힘을 쓴 것은 없습니다.’고 대답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다.

장경악【張景岳】명(明)의 장개빈(張介賓). 경악전서(景岳全書) 썼음. 경악(景岳)은 장개빈의 호임. 《會稽縣志》

장경오훼【長勁烏喙】인물됨이 좁고 의심이 많아서, 성취하고자 하는 일을 이루고 나면 협력자나 동지에게 등을 돌릴 인상을 일컫는 고사성어.

장경윤【張京尹】한(漢) 나라 선제(宣帝) 때 경조윤(京兆尹)을 지낸 장창(張敞)을 이름이니, 평양(平陽) 사람으로 자는 자고(子高)이다. 벼슬에 있을 때마다 치적이 많았으며 일찍이 그의 아내를 위해 눈썹을 그린 일이 있었다. 《漢書 卷七十六 張敞傳》

장경제주【長卿題柱】장경은 한(漢)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字). 사마상여가 일찍이 꼭 출세하겠다는 각오로, 촉(蜀)에서 서(西)로 갈 때 승선교(昇仙橋)를 지나면서 교주(橋柱)에다 “높은 수레와 사마[高車駟馬]를 타지 않고는 내가 이 다리를 다시 지나지 않으리라.”고 쓰고 갔다는 고사이다.

장경체【長慶體】당(唐) 나라 시인 원진(元稹)과 백거이(白居易)의 문체를 말한다. 그들이 절친한 친구로서, 당 목종(唐穆宗) 장경(長慶) 연간에 각각 원씨장경집(元氏長慶集)과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을 출간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