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재자【才子】재자는 재주있는 남자로 재사(才士)와 같은 말이다.

재자가인【才子佳人】재주 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 재주 있고 아름다운 남녀

재자기황곡【才子騎黃鵠】주 영왕(周靈王)의 왕자(王子). 완탁(阮卓)의 황곡원별시(黃鵠遠別詩)에 “왕자가 생황 불다가 갑자기 서로 만나다[王子吹笙忽相逢]" 하였다.

재제문소【在齊聞韶】소는 순 임금의 음악. 공자가 제 나라에서 소를 듣는 석달 동안 고기 맛을 몰라하며 말하되, “음악이 이에 이를 줄을 몰랐노라.” 하였다. 서경(書經)에, “순(舜)이 소(韶)의 음악을 아뢰니, 봉황새가 와서 노닐었다.” 하였다.

재조【在藻】인간답게 사는 풍족한 생활을 비유한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어조(魚藻)의 “마름풀 사이 물속에서 유유히 노는 물고기[魚在在藻]”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재조은【再造恩】망하게 된 국가를 구해준 은혜.

재종조부【再從祖父】할아버지의 사촌 형제.

재주【齋廚】재주는 사찰(寺刹)이나 도관(道觀)의 취사장(炊事場)을 말한다.

재주내【載酒來】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술을 무척 좋아하면서도 집이 가난해 마시지를 못했는데, 호사자(好事者)가 술과 안주를 싸들고 와서[載酒肴] 종유(從游)하며 배웠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漢書 揚雄傳贊》

재주생근세막이【梓柱生根勢莫移】한 원제(漢元帝) 때 왕씨(王氏)의 세력이 번창하므로 유향(劉向)이 이를 걱정하여 상소하기를 “재주가 가지가 성하듯 그 세력이 굳어졌다.”고 한 데서 인용된 말이다. 《漢書 卷三十六 楚元王傳》

재주참군방독옹【載酒慙君訪禿翁】변변찮은 늙은이에게 배우겠다고 찾아온 것이 부끄럽다는 겸사이다. 한(漢) 나라 양웅(揚雄)의 집이 가난하여 좋아하는 술도 못 먹고 있었는데, 배우려는 자들이 술과 안주를 싣고 찾아왔다는 고사가 있다. 《漢書 揚雄傳下》

재죽이생손【裁竹已生孫】대나무 뿌리에서 다시 옆으로 뻗어나온 작은 대나무를 죽손(竹孫)이라 하는데, 여기에서 자손의 뜻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참고로 소동파(蘇東坡)의 시 가운데 “야자수는 자식을 낳고 대나무는 손자 보았도다.[檳榔生子竹生孫]”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43 庚辰歲人日作 時聞黃河已復北流 老臣舊數論此 今斯言乃驗》

재진【在陳】공자가 진에 있으면서 말씀하시되 “내 무리의 애들이 광간하여 번쩍하게 무늬를 이루나 마를 줄을 모르는도다.[子在陳曰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的以裁之]”하였다.《論語 公冶長》 공자가 천하를 주유하여 이름을 날리고도 문인들이 아직 미숙함을 걱정하여 돌아가 시서ㆍ예악을 정리, 술작할 뜻을 가지고 한 말.

재진절립【在陳絶粒】공자(孔子)가 진(陳)ㆍ채(蔡)에서 양식이 떨어져 군색함을 당했던 일을 말한다. 《論語 衛靈公》

재진지액【在陳之厄】아주 빈핍하여 양식이 떨어진 것을 비유한 말이다. 공자(孔子)가 진채(陳蔡)에 있을 때 양식이 떨어져 액운을 겪었기 때문에 이름이다. 《論語 衛靈公》

재최복【齋衰服】굵은 삼베로 짓고 단을 꿰맨 상복을 입고 오동나무나 버드나무로 만든 지팡이를 짚는다. 입는 기간은 만 2년, 즉 24개월이다. 주로 어머니의 상(喪)에 아들, 며느리, 딸이 입는다.

재향지변간욕봉【再向池邊看浴鳳】두 번 한림(翰林)으로 재직했음을 뜻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